◀ 앵 커 ▶
지난해 2월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발표로
촉발된 의정 갈등이 벌써 2년 차에
접어들었지만, 여전히 정상화의 실마리는
보이지 않고 있는데요.
해결책은 없을까요?
의료계와 시민단체 등은 지역 필수 의료 인력이 부족하다는 데 동의했지만,
그 원인과 대책에서는 여전히 첨예한 입장차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고병권 기자입니다.
◀ 리포트 ▶
병원을 떠난 전공의와 대책이 없는 정부.
해를 넘긴 의정 갈등의 여파는 의료 체계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지역 의료에 더 큰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지역 필수 의료진이 부족한
원인에 대해서는 의료계와 시민사회 단체가
팽팽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습니다.
의료계는 절대적인 의사 수가 부족한
것이 아니라며, 근본적인 근무 환경 개선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최안나 / 대한의료정책학교장
"지역의 환자들이 지역의 병원을 이용할 수밖에 없게 만들고 그래야 의사들도 거기(지역)에 있는 겁니다. 그런 거 다 없이 의대만 어떻게 짓고(해서 해결할 수 없다)."
반면 시민단체 등은 공공 의대와
지역 의사제 등이 지역 필수 인력을 확보하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원용철 / 대전의료원설립시민운동본부 상임대표
"그분(지역 상급 종합병원 사직 전공의)들이 의사로서 '나 이제 우리나라 의료체계가 이러니까 나 의사 그만둘래' 이러지 않는다는 거죠. 다 수도권으로 지금 몰리고 있다는 거예요."
이 같은 견해차는 2026년 의대 정원 문제에서도
각각 원점 재검토와 증원 유지 의견으로 갈려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장기간의 전공의 공백이 국내 의사
양성 시스템의 문제를 근본부터 되돌아볼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에는 공감대가
이뤄졌습니다.
김찬규 / '병원다니는 사람들' 대표(사직 전공의)
"환자 보는 게 즐겁고 재밌어서 응급실을 찾아갔는데요. 그런 저조차도 이러한 수련 제도에 계속 몸을 담고 있는 게 의미 없다고 느꼈다고 하면…"
또, 낮은 의료 수가 체계를 현실화하고,
국가 재정과 보험료 체계 재검토 등 의료 정상화를 위한 대책도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신문수 / 보건의료산업노조 대전충남지역본부장
"담뱃세나 주류세에 건강보험 재정을 지원할 수 있는, 최상위층이 건강 보험료를 좀 더 낼 수 있는 그런 부분에서 재정을 출연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발해 내는 것이…"
이번 주 일요일 오전 8시 35분 방송되는
대전MBC 시시각각에서는 해를 넘긴 의정 갈등에
갈수록 열악한 상황에 놓이고 있는 지역 의료계의 현실과 대책을 집중 점검합니다.
MBC뉴스 고병권입니다.
◀ EN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