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투데이

"사악한 용이 있는 곳, 용산" 시국강론 화제/투데이

◀ 앵 커 ▶

12.3 내란 사태를 성경 속 사악한 용에 빗댄 

천주교 신부의 강론이 뒤늦게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대전에서 열린 시국미사 중 나온 발언인데

당시 미사를 집전했던 김용태 마태오 신부를 

만나 강론의 배경과 의미를 직접 들어봤습니다.


문은선 기자입니다.


◀ 리포트 ▶


화제의 강론은 지난 9일 대전에서 열린 

시국미사에서 있었습니다.


김용태 / 천주교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장

"묵시록에 이 사악한 용이 자리 잡은 곳,

그곳을 우리는 용산이라 부릅니다."


박수가 쏟아집니다.


12.3 계엄을 작심 비판한 발언이 뒤를 잇습니다.


김용태 / 천주교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장

"그런데 이 용이란 표현도 가당치 않은 용산의 이무기..

그 자가 지난 12월 3일 밤에 뭐라고 표현할까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사전도 찾아보고.. 지x발광을 하였습니다."


당시 시국미사를 집전했던 김용태 마태오 신부를 만나 

먼저, 강론 이후 주변 반응을 물었습니다.


김용태 / 천주교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장

"많은 분들이 이 시대가 입틀막이라고 하지

않습니까. 그런 때에 사제가 공식석상에서

미사란 거룩한 전례 안에서 그런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사람들에게 대리만족 같은

시원함도 느꼈던 것 같아요."


요한 묵시록으로 강론을 시작한 이유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 직후  대통령실을 용산으로 옮길 때부터 

이 성경 이야기가 떠올랐다고 했습니다.


김용태 / 천주교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장

"사탄, 악마라고 하는 말이 라틴어로 '디아볼로스'라고 해요. '디아'라는 말이 갈라놓는다는 뜻입니다. 다 갈라놓고 분열시키고 그런 모습, 저게 바로 디아볼로스의 모습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시국미사는 사실 12.3 비상계엄 이전부터

계획돼 있었습니다.


'더 이상은 안 된다'는 광장의 목소리에

힘을 싣기 위해서였습니다.


주변의 염려에도 미사를 강행한 이유기도 합니다.


김용태 / 천주교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장

"비상계엄이 됐다고 하니까 이걸(시국미사)

어떻게 할까, 자꾸 전화가 와요. '이거 어떻게

합니까' 하길래..목숨 걸고 하자."


한국 첫 가톨릭사제인 김대건 신부의 

유일한 후손인 김 신부는 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장을 맡고 있습니다.


다시 강론으로 돌아가

진짜 하고 싶었던 이야기를 물었습니다.


김용태 천주교대전교구 정의평화위원장

"지금 당장은 파면된다고 하더라도 제2, 제3의 윤석열이 탄생하지 않을까..

본질적인 것들, 문제점을 청산해야 한다는 차원에서 이번 

시국미사의 가장 초점은 검찰 개혁이었습니다."


때문에 지금의 촛불이 윤 대통령의 

파면으로 끝나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본질은 국민이 주인이 되는 

'참된' 민주주의의 회복이라는 겁니다.


아직도 12.3 내란을 옹호하는 이들을 향해선 

상식에 바탕을 둔 양심, 더불어 함께 살아가고

싶은 마음 즉 민주주의 감수성을 확산시키는 

것을 해법으로 제시했습니다.


mbc뉴스 문은선입니다.

◀ END ▶

문은선



▶대전MBC 코로나19 상황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