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가 물러가자 연일 폭염이 기세를
떨치고 있습니다.
특히 폭염에 취약한 노약자, 특히 소외계층의 경우 무더위 쉼터 등 혹서기 대책이
절실한데요.
몇 안되는 경로당 같은 무더위 쉼터 들도
코로나19 재확산 국면속에 제한적 개방을
근근히 이어가고 있어 노인들은 갈 곳이
마땅치 않습니다.
윤웅성 기자가 현장을 둘러봤습니다.
◀리포트▶
대전 유등천의 한 다리.
다리 밑 그늘에 노인들이 군데군데 모여
있습니다.
폭염 속 그나마 햇볕이라도 피하기 위해
자리를 잡았습니다.
◀이펙트▶
"갈 데도 없고. 점심 먹고서 나와서 있다가
들어가는 거지 뭐."
그나마 무더위 쉼터로 지정된 경로당이
있다지만 사정이 여의치 않은 경우도 많습니다.
코로나19 재확산세에 사람들이 붐비는 곳이
꺼려지기도 하고,
[윤은한 / 대전시 유성구 노은동]
"코로나19 때문에 식당도 제대로 못 가고
경로당 같은 데 아는 사람들이 나오라고 해도
가지도 못하고 여기 공원에 나와서 앉아있다가
가는 거야"
인원수나 시간을 제한하거나 취식이 금지되는
등 운영이 엄격히 제한됐기 때문입니다.
그나마 운영중인 곳도 코로나19 확산세가
심각해지면 다시 폐쇄되지는 않을까
걱정이 앞섭니다.
[안희영 / ㅇ 아파트 노인회 회장]
"일일 (이용인원) 10명 선으로 나오는 것을 오히려 더 제한해서 (전면 폐쇄했던) 종전으로
돌아갈까 봐 겁을 내고 있습니다.."
지난해 온열질환으로 인한 사망자는
전국적으로 11명, 이 가운데 90%는 8월에
발생했습니다.
코로나19에 폭염까지, 취약계층은 어느해보다 힘겨운 여름을 나고 있습니다.
MBC뉴스 윤웅성입니다.
(영상취재 : 양철규)
대전 유등천의 한 다리.
다리 밑 그늘에 노인들이 군데군데 모여
있습니다.
폭염 속 그나마 햇볕이라도 피하기 위해
자리를 잡았습니다.
◀이펙트▶
"갈 데도 없고. 점심 먹고서 나와서 있다가
들어가는 거지 뭐."
그나마 무더위 쉼터로 지정된 경로당이
있다지만 사정이 여의치 않은 경우도 많습니다.
코로나19 재확산세에 사람들이 붐비는 곳이
꺼려지기도 하고,
[윤은한 / 대전시 유성구 노은동]
"코로나19 때문에 식당도 제대로 못 가고
경로당 같은 데 아는 사람들이 나오라고 해도
가지도 못하고 여기 공원에 나와서 앉아있다가
가는 거야"
인원수나 시간을 제한하거나 취식이 금지되는
등 운영이 엄격히 제한됐기 때문입니다.
그나마 운영중인 곳도 코로나19 확산세가
심각해지면 다시 폐쇄되지는 않을까
걱정이 앞섭니다.
[안희영 / ㅇ 아파트 노인회 회장]
"일일 (이용인원) 10명 선으로 나오는 것을 오히려 더 제한해서 (전면 폐쇄했던) 종전으로
돌아갈까 봐 겁을 내고 있습니다.."
지난해 온열질환으로 인한 사망자는
전국적으로 11명, 이 가운데 90%는 8월에
발생했습니다.
코로나19에 폭염까지, 취약계층은 어느해보다 힘겨운 여름을 나고 있습니다.
MBC뉴스 윤웅성입니다.
(영상취재 : 양철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