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독립유공자 후손 '쓸쓸한 노후'/데스크

◀앵커▶

앞서 보도한 것처럼 3.1절을 비롯해

일제 치하에서 조국 광복을 위한 독립투사 등

선열들의 헌신이 없었다면 지금의 우리도

없었겠죠.



하지만 정작 이들 독립유공자의 후손들은

가난을 대물림하며 어렵게 살고 있는 게

현실입니다.



후손을 찾지 못한 훈장도

전국에 7천 개가 넘는다고 합니다.



이연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예산에서 항일 학생운동을 했던

성백우 선생의 아들 성종철 씨.



일흔이 넘은 나이에

아내까지 장애등급 판정을 받은 뒤

보훈 급여만으로는 생활이 어려워

구청 청소일을 하고 있습니다.




성종철 / 독립유공자 후손 (74살)

"연금 갖고는 생계유지를 할 수 없어서 이제

일당 시간제 이걸로 해서 노구를 끌고서라도

해야 생명 유지를 할 수 있는 이런 건데.."



그나마 지금은 보훈 급여 명목으로

연금이라도 나오지만,

독립유공자 할아버지가 나라를 위해

헌신하느라 집안을 돌보지 못하면서

후손들은 힘겨운 유년기를 보냈습니다.




정한백 / 독립유공자 후손

"남들은 국민학교 때 학부형 회의하고 전부

다 부모들이 오잖아. 우리는 오는 사람이

없었어, 나 혼자 그냥 오고 가고 오고 가고.. 독립유공자들이 지금은 사는 것 같지만

옛날엔 사는 게 사는 게 아니었어."



지자체별로 독립유공자 후손 챙기기에

애쓰고 있지만 아직은 부족한 게 많습니다.




한상회 / 독립유공자 후손

"독립운동한 분들의 피나는 노력한 것이

다 묻혀버리잖아요. 그런 것을 나라에서도

알려주고, 그래야 자라나는 우리 자손들이

충성심이 생길 거 아녜요."



독립운동가 후손 찾기도 더딥니다.



전국의 독립유공자 포상인원

만 7천 여 명 가운데 후손을 찾지 못해

전달하지 못한 훈장이 7천 개가 넘습니다.



독립운동 당시 본명과 다른 이름을 썼거나

본적 주소를 제대로 남기지 않은 경우가

많은 탓인데, 대전지방보훈청은 지난해

부여군과 함께 직접 후손 발굴에 나섰습니다.



강만희 / 대전지방보훈청장

"부여군에서 제적등본의 대대적인 재확인

작업하고, 마을 이장 분들과 회의를 통해서

후손 3명을 찾았습니다."



보훈청은 충청지역으로 범위를 넓혀

후손 찾기에 나설 계획이며,

이렇게 찾은 후손 가운데 심의를 거쳐

훈장도 전수할 예정입니다.




권태길 / 독립유공자 후손

"할아버님이 돌아가신 지는 100년 됐는데,

100년이 지난 후에라도 국가에서 조사해서

이렇게 해 주시는 거에 대해서는 굉장히

고맙고 영광스럽게 생각을 하고 있죠."



3.1절 기념행사 등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는 행사 때만이 아닌



독립유공자 후손을 예우하고

더 나은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하는 일,

지금 우리에게 남겨진 몫입니다.



MBC뉴스 이연정입니다.



(영상취재 : 양철규)

뉴스팀



▶대전MBC 코로나19 상황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