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최근 북한 우주발사체 발사 당시
서울시가 부정확한 재난 문자를 보내
시민들이 큰 혼란을 겪었죠,
이번 경계경보 오발령 논란으로
실제 위급 상황이 발생하면
어디로 대피해야 하는지,
내 주변 대피소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는데 지역의 상황은 어떨까요?
김성국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900여 가구가 살고 있는 한 아파트.
"이곳은 정부가 지정한 민방위
대피소지만 이렇게 자물쇠가 잠겨있습니다."
그 흔한 대피소 안내문도 없습니다.
관계자 외 출입금지 문구만
붙어 있다 보니 주민들도
이곳이 대피소라는 사실을 모릅니다.
(여기가 대피소였던 건지 아셨어요?)
"그걸 몰랐어요. 지금까지도 몰랐는데"
각 동마다 있는 지하실은
최대 9천9백여 명까지 수용 가능합니다.
평상시에는 관리 등의 이유로
대부분 문을 잠가놓다 보니,
실제 공습·전쟁 상황이 생기면
주민들은 관리자가 문을 열어주기를
기다려야만 합니다.
주민
"지금 뭐 늘 북한에서 핵을 쏘느니 미사일을
쏘느니 그러는데 주민들은 그런 거 알고 있어야지. 언제 어느 때 발생할지 모르잖아요."
지정 대피소지만 구호 물품도 전혀 없습니다.
행정안전부가 내놓은
민방위 업무 지침상,
건물 지하시설과 지하철 등
공공용 대피시설은 일시적인 대피 용도라
응급·비상용품은 권장사항일 뿐입니다.
대표적인 대피소인 지하철도
허술하긴 마찬가지입니다.
만 명이 넘는 시민들이
대피할 수 있는 이곳에
방독면은 다섯 개밖에 없습니다.
그나마도 이 방독면은
비상 상황에서 시민들을 안내하고
통제하는 역무원용입니다.
독가스와 세균, 바이러스 등을 이용해
공격하는 화생방전이 벌어질 경우,
시민들은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습니다.
대전도시철도 관계자
"해마다 예산은 올리죠. 이거 이거 필요하다고 예산 올려도, 예산 자체가 반영이 되지 않으니까. 저희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방독면 등 그나마 장비가 갖춰진
민방위 교육장도 구급약품은
전혀 비치돼 있지 않습니다.
민방위 관계자
"이게(구급약품) 구비를 해놓으면 계속
이제 주기(유통기한)가 짧다 보니까.."
대전과 세종, 충남의 대피소는 천 3백여 개,
하지만 적극적인 안내와 준비가
부족한 상황이라 시민들 스스로의 대비가
더 중요합니다.
내 주변 대피소는
국민재난안전포털 홈페이지나
휴대전화에서 행정안전부의
안전디딤돌 앱 등에서 검색할 수 있습니다.
mbc 뉴스 김성국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