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 뉴스데스크뉴스투데이뉴스데스크 VOD(전체 다시보기)뉴스투데이 VOD(전체 다시보기)유튜브뉴스페이스북 뉴스카카오톡 뉴스인스타그램 뉴스 prev 2024.7.9 - 화요일 next 세종시 고운동에 시간당 66mm 폭우.. 호우 특보는 모두 해제 세종시 고운동에 어젯 밤 9시부터 시간당 66mm의 폭우가 기록된 가운데, 대전과 세종·충남에 내려졌던 호우 특보는 어젯밤 10시 40분 부로 모두 해제됐습니다.어제 저녁부터 내린 비의 양은 세종시 고운동... 김태욱 무너지고 침수되고..비 피해 속출/투데이 ◀ 앵 커 ▶최대 200mm가 넘는 폭우가 내린대전과 세종, 충남 지역은 어제 하루에만 130여 건의 피해가 속출했습니다.하천에 있는 보가 유실돼 주민이 고립되는가 하면, 차량에 물이 차는 사고가 잇따라운전... 김성국 충청권 '물폭탄'...내일도 많은 비/투데이 ◀ 앵 커 ▶지난 주말부터 200mm 이상의 비가 집중된 충청권에는 홍수주의보가 내려지고 지하차도가침수되기도 했는데요.내일까지 다시 많은 장맛비가 예상돼 각별히 주의하셔야겠습니다. 윤소영 기자입니다... 윤소영 '성추행 의혹' 대전시의원 국민의힘 탈당..징계 어려워 총선 후보 캠프에서 근무하던 여성 직원을 성추행한 의혹을 받는 국민의힘 소속 대전시의원이 탈당했습니다.앞서 국민의힘은 지난 2일 윤리위원회를 열고 징계에 착수했지만 해당 의원이 지난 5일 탈당계... 김광연 '공직선거법 위반' 박경귀 아산시장 오늘 파기환송심 선고 2년 전, 지방선거 당시 공직선거법을 위반한 혐의로 기소돼 당선무효형을 선고받았다가대법원에서 파기환송된 박경귀 아산시장의선고 공판이 오늘 대전고등법원에서열립니다.박 시장은 지방선거에서 상대 ... 이승섭 황정아, '세액공제 확대' 연구개발 투자 지원법 대표발의 더불어민주당 황정아 의원이기업의 RD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연구와 인력개발비에 대한 세제 혜택을 확대하는 내용의 'RD 투자 지원법'을 대표발의했습니다.법안에는 중소기업은 인공지능 등 분야에서연구... 김윤미 지방선거 이끌 위원장은 누구?/투데이 ◀ 앵 커 ▶총선이 끝난 지 석 달이 넘으면서 정치권의 관심은 2년 뒤 지방선거로 쏠리고 있습니다. 특히, 지방선거를 지휘할 시도당 위원장이 누가 될지도 큰 관심인데요. 국민의힘은 위원장 선출을 마무리... 박선진 설동호 대전교육감 취임 2주년 기자회견, '불통행정' 지적도 설동호 대전시 교육감이 취임 2주년 기자회견을 열고, 늘봄학교 시범운영과 미래 직업교육센터 개소 등을 주요 성과로 꼽았습니다.또 순직한 대전 용산초 교사 부실수사 논란에대해 교육청 차원에서 면밀... 고병권 충남도, 천주교 순례객 위한 호텔 건립 추진 충남도가 오는 2027 가톨릭 세계청년대회를 대비해 도내로 성지 순례를 오는 교인들을 위한 호텔 건립을 추진합니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가톨릭 세계청년대회 때 많은 외국인들이 성지가 위치한 충남을 찾... 김태욱 아산시, 재난 상황 관리 전담팀 신설..도내 최초 아산시가 도내에서 최초로 24시간 재난상황실을 운영하는 재난상황팀을 신설했습니다.시는 이상기후로 인한 재난이 다양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전담 인력 4명을 배치해 365일, 24시간 예방 조치와 초동 대... 김광연 재난·재해 대응에도 디지털 기술 활용/투데이 ◀ 앵 커 ▶이렇게 전례에 드문 집중호우나 기후 위기로 인한 기상 재난이 늘면서 피해를 막기 위한 노력도 첨단화하고 있습니다. 댐 방류량을 결정하는데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활용하고, 하천 주변 CCTV ... 김광연 충남도, 전체 마을 5,900곳에 세이프존 구축 충남도가 각종 재해로부터 도민들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도내 15개 시·군, 전체 마을 5,899곳에 세이프존을 지정해'1 마을 1 대피소' 체계를 구축했다고 밝혔습니다.또 자력으로 대피가 어려운 재... 김태욱 빈 면사무소가 문화공간으로 탈바꿈..균형발전 우수사례 40년 된 빈 면사무소 건물을 문화공간으로 조성한 세종시의 사업이 지방시대위원회 균형발전사업 평가에서 우수사례로 선정됐습니다.시는 지난 1984년 지어져 35년 동안 사용하다 이전으로 사용이 중단된 ... 김광연 카이스트, AI 가속기용 고성능 GPU 기술 개발 현재 AI 가속기 시장을 독점하고 있는미국의 반도체기업 '엔비디아'에 맞설 수 있는고용량, 고성능 AI 가속기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습니다.카이스트 정명수 교수 연구팀은 차세대 인터페이스 기술... 김윤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