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공공 일자리는 숫자놀음?/데스크

◀앵커▶



포스트코로나 기획보도 순서입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일자리 위기가

심각해지면서 정부를 중심으로 공공 영역에서 일자리 만들기가 활발합니다.



하지만 일자리 창출에만 매달리다 보니

일자리가 필요한 수요자 입장을 고려하지 않고

일자리 개수 늘리기에만 급급하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습니다.



문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전 시내버스 차고지에서 차량 내부

소독을 하는 이도경 씨,



지난해 8월 대전시 희망 일자리 사업을

통해 방역일을 맡아 시작한 것이 벌써

반년이 지났습니다.



그 사이 해당 사업은 끝났지만 지금은

업체를 통해 같은 일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이도경 대전시 도마동

"식당 같은 데 하루 일당으로 나갔는데

코로나 때문에 일자리가 없어져 가지고

(지인이 공공 일자리) 모집을 하더라,

시청에. 그래 가지고..."



'희망 일자리'는 코로나19 위기 상황을 맞아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공공 일자리

사업입니다.



하지만 코로나로 인한 실직·폐업 등

서민들의 경제적 어려움을 덜어준다는 당초

취지와 달리 사람 모집이 쉽지 않았습니다.


지난해 하반기 국비를 받아 사업을

진행했던 대전시는 추가 모집까지 진행해

목표했던 8천 명은 간신히 채웠지만

중도 포기가 속출했습니다.



일자리 개수를 늘리기 위해 4시간, 6시간씩

시간을 쪼개 일을 나누다 보니 소득 보장이

안 돼 호응이 떨어진 겁니다.////



공공 일자리는 민간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는다는 기본적인 원칙도 지켜지지 않고

있습니다.



시내버스 방역만 해도 희망 일자리 사업

기간에는 대전시가 추진하지만, 사업이 끝나면

민간 업체에 맡기는 식이라 아랫돌 빼서

윗돌 괴는 식이라는 비판도 나옵니다.



대전형 공공일자리 역시 수요자 요구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시는 지난 2월, 청년과 여성·신중년을

대상으로 오는 2023년까지 일자리 2만 개를

만든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과거 4개월짜리 단기 공공근로보다는

고용기간이 늘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6개월

인턴십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구한솔 배재대 4학년

"이것저것 그냥 숫자만 많고 그러니까

(숫자를) 더 줄이더라고 길게 길게 일자리를

만들어줬으면..."



그나마도 아직 예산을 세우지 못해 대전형

공공일자리 사업 시행 시기는 두 달가량

더 미뤄졌습니다.


대전시 오세광 일자리노동경제과장

"재난지원금과 희망 일자리 사업을 정부에서

3월 확정이 되다 보니까 조금 한 달의 갭은

있었고 예산 과정을 통해서 7월 1일부터는

대전형 공공 일자리를 추진해 나가려고

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위기 특히

일자리 위기는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입니다.



실적 보여주기에 급급한 일자리 창출

정책으로는 지금의 위기를 극복하기가

요원해 보입니다.



MBC뉴스 문은선입니다.



(영상취재: 신규호 그래픽: 정소영)

문은선



▶대전MBC 코로나19 상황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