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투데이

[리포트]대전 고준위방폐물 어디로?

◀앵커▶
원자력 시설이 밀집한 대전에는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은 물론

국내에 아직 처리할 곳도 없는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도 있습니다.



고준위방폐물 처리를 놓고 산업통상자원부가

의견 수렴을 시작하면서 대전시가 관련

정책 결정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조명아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한국원자력연구원에는

사용후핵연료 1699봉, 4.2톤이 저장돼있습니다.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에서 나왔거나

사용후핵연료의 재처리 실험을 위해

전국의 원자력발전소에서 들여온 것들입니다.



대전시는 실험 후 반송을 주장해왔지만

한번 들여온 사용후핵연료는 반출이 어려워

원자력연구원 내 실험 시설인

'조사후시험시설'에 보관하고 있습니다.



[구본환/ 대전시의원, 원자력안전특위 위원장] 
"우선 저희 입장은 현재 산재하고 있는 폐기물을 원산지에, 가지고 왔던 데에 하루속히 원상복구하는 것을 지금까지 강력히 요구하고 있습니다."



2만 드럼이 넘는 중저준위 방폐물은

경주 방폐장으로 옮겨 처리하고 있지만,

사용후핵연료 같은 고준위 방폐물은

전용 방폐장이 없습니다.



임시 저장소들도 곧 포화 상태에 이르고

보관상 안전 문제도 지속해서 제기되자,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사용후핵연료 관리정책 재검토위원회를 출범해 대국민 의견 수렴에

나섰습니다.



대전시는 이번 기회에 고준위 방폐장이 건설돼 지역의 사용후핵연료를 처리할 수 있도록

정부에 강력한 의지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강혁/ 대전시 시민안전실장] 
"우리 시에서 임시 보관하고 있는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도 당연히 (고준위 방폐장) 그쪽으로 이송해서 영구적으로 처리될 수 있기를 간곡히 원하고 있습니다."



스웨덴과 핀란드, 독일 등 유럽 선진국은

고준위 방폐장을 건설하기까지

10년 이상의 공론화 기간을 거친 만큼,



서두르기보다는 시민들에게 방폐물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간으로 삼아야

한다는 의견이 나옵니다.



[이경자 위원장 / 핵재처리 실험저지 30km연대] 
"대전시민들이 고준위핵폐기물의 존재, 현황, 보관 상황에 대해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대전시가 정보를 충분하게 제공하는게 필요하고요."



1978년 첫 원전인 고리 1호기가 가동한 뒤

수십년째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는

고준위 방폐장 문제가 이번엔 답을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MBC 뉴스 조명아입니다.

(영상취재:장우창)

조명아



▶대전MBC 코로나19 상황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