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최근 한 지역축제에서 옛날 과자
한 봉지를 7만 원에 판매해
논란이 일면서 지자체마다
축제 물가 잡기에 비상이 걸렸죠.
코로나19 이후 일상 회복과 함께
올해 전국에서 천 백여 건의 축제가
열리지만 축제 관리 시스템은 여전히
제자리에 머물러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태욱 기자입니다.
◀리포트▶
공주에서 열린 꽃 축제장,
관람 동선 맞은편으로 먹거리를 파는
임시 상점이 길게 늘어섰습니다.
하지만 어디에도 가격표를 내건 곳은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한희원 / 천안시 안서동
"바가지요금이다 생각하면서도 사서 먹었거든요. 그런데 지금은 그게 너무 심하다 보니까,
이제 그런데 오면 기분이 너무 안 좋아요."
최근 경북 영양 전통시장에 이어
전남 함평, 남원, 경남 진해 등에서 열린
지역 축제에서 바가지 논란이 일면서
지자체마다 축제 물가 잡기에 나서고 있지만
별 소용이 없습니다.
올해 지역축제는 코로나19가 한창이던
3년 전과 비교해 대전과 세종·충남이 124건, 전국 기준 1,129건으로 15%가량 증가했습니다./
"코로나19 이후 지역 곳곳에서 축제가
열리고 있는데요. 축제 예산의 대부분은
지방비로 충당하고 있습니다."
올해 대전시와 세종시·충남도는
지역 축제 124건을 개최하는데
467억 8,500만 원을 쓸 예정입니다.
하지만 국비를 지원받는 축제는
전체 124건 중 단 4건, 국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 축제 예산의 2%도 안 됩니다.
이렇게 막대한 예산을 쓰면서도
정작 축제를 관리할 인력은 시·군마다
한, 두 명에 불과합니다.
감독 책임이 있는 문화체육관광부 역시
전국 1,100여 곳에서 축제가 열리다 보니
제대로 살펴보지 못하고 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음성변조)
"다른 지역 축제에 대해서까지 직접적으로
저희가 관리를 하고 있지는 못하고요. 저희가 지정한 팔십여 개 문화관광 축제에 대해서는
저희 두 명이 담당하고 있습니다."
혈세 낭비와 관리 부실을 막기 위해
지역 축제를 통합하고 '지역 축제 제대로
열기 교육' 등 자정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흥렬 / 목원대 항공관광경영학과 교수
"지자체의 관리 또 거기에 있는 상인들
또 지역 대학이나 기관들과의 어떤 시스템적인 공동 협력을 통해서 교육을 통하고 또한 그들의 개선을 통해야만이.."
문체부도 바가지 요금 근절 등 대책을
마련하고 제대로 치른 축제 주최에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을 추진합니다.
MBC뉴스 김태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