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전현충원에 걸려 논란을 빚어온
전두환 씨 친필 현판과 헌시비가 철거됩니다.
국가보훈처는 국립묘지의 상징성을 고려해
전 씨가 쓴 현판과 헌시비를 없애고 대신
'안중근'체로 제작된 새로운 현판과 헌시비로 교체하기로 했는데요.
철거를 결정하기까지 무려 35년이 걸렸습니다.
김태욱 기자입니다.
◀리포트▶
1985년 대전현충원 준공 당시
설치된 현충문 현판.
당시 대통령이던 전두환 씨가 직접 종이에 쓴
글씨를 탁본으로 새겨 만들었습니다.
전 씨는 내란과 반란죄로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대통령 예우까지 박탈됐지만,
그의 친필만은 호국영령이 잠든 현충원에 35년째 그대로 남아있었던 겁니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진 지난해부터 철거 요구가 거세게 이어졌고,
결국 국가보훈처는 이 현판을 이달 안에 철거하고 새 현판으로 교체하기로 했습니다.//
전두환 글씨 대신 새로 달릴 현판에는
안중근 의사의 손글씨를 토대로 만들어진
이른바 '안중근체'가 사용됩니다.
이토 히로부미 저격을 하루 앞두고
강한 의지와 비장한 심정을 담아 쓴
'장부가'의 손글씨를 바탕으로,
작년 하얼빈 의거 110주년을 기념해
만들어진 글씨체입니다.
[최정식 / 국가보훈처 홍보기획팀장]
"안중근 선생님이 갖고 있는
호국과 독립의 의미들을 담아내는
그런 서체들을 현충문에 담아낸
의미가 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현충탑 앞에 자리잡은 헌시비 뒷면에도
전두환이 적은 비문이 새져져 있는데,
이 역시 이르면 다음 달 쯤 안중근체로 교체돼
새로 설치될 예정입니다.
하지만 지난 1986년 전 씨가 심은 뒤 고사해
다시 심은 일본산 소나무 금송에 대한
처리 계획은 빠져있어 반쪽짜리 대책이라는
비판도 제기됩니다.
[혜문 /문화재 제자리찾기 대표]
"전두환 현판 철거 결정에 만족하는 것이
아니라 전두환 기념식수 금송 철거까지
국가보훈처가 결정할 수 있도록.."
광주 민주화운동 40주년을 앞두고
우리 현대사 곳곳에 남겨진
독재자의 흔적을 지우고, 지난 과오를
바로 잡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MBC뉴스 김태욱입니다.
1985년 대전현충원 준공 당시
설치된 현충문 현판.
당시 대통령이던 전두환 씨가 직접 종이에 쓴
글씨를 탁본으로 새겨 만들었습니다.
전 씨는 내란과 반란죄로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대통령 예우까지 박탈됐지만,
그의 친필만은 호국영령이 잠든 현충원에 35년째 그대로 남아있었던 겁니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진 지난해부터 철거 요구가 거세게 이어졌고,
결국 국가보훈처는 이 현판을 이달 안에 철거하고 새 현판으로 교체하기로 했습니다.//
전두환 글씨 대신 새로 달릴 현판에는
안중근 의사의 손글씨를 토대로 만들어진
이른바 '안중근체'가 사용됩니다.
이토 히로부미 저격을 하루 앞두고
강한 의지와 비장한 심정을 담아 쓴
'장부가'의 손글씨를 바탕으로,
작년 하얼빈 의거 110주년을 기념해
만들어진 글씨체입니다.
[최정식 / 국가보훈처 홍보기획팀장]
"안중근 선생님이 갖고 있는
호국과 독립의 의미들을 담아내는
그런 서체들을 현충문에 담아낸
의미가 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현충탑 앞에 자리잡은 헌시비 뒷면에도
전두환이 적은 비문이 새져져 있는데,
이 역시 이르면 다음 달 쯤 안중근체로 교체돼
새로 설치될 예정입니다.
하지만 지난 1986년 전 씨가 심은 뒤 고사해
다시 심은 일본산 소나무 금송에 대한
처리 계획은 빠져있어 반쪽짜리 대책이라는
비판도 제기됩니다.
[혜문 /문화재 제자리찾기 대표]
"전두환 현판 철거 결정에 만족하는 것이
아니라 전두환 기념식수 금송 철거까지
국가보훈처가 결정할 수 있도록.."
광주 민주화운동 40주년을 앞두고
우리 현대사 곳곳에 남겨진
독재자의 흔적을 지우고, 지난 과오를
바로 잡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MBC뉴스 김태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