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투데이

오송참사 1년..의무 차단시설 '태반이 미설치'/투데이

◀ 앵 커 ▶
집중호우로 하천물이 범람해 14명이 숨진
충북의 지하차도 참사가 발생한 지
어느덧 1년이 다 돼갑니다.

사고 이후 정부와 지자체는 지하공간에 대한
안전 대책을 앞다퉈 내놨는데요.

앞서 보셨듯이 요즘같은 국지성 집중호우에는
지하에 순식간에 물이 들어차 위험도가
더 올라갑니다.

장마철 우리 주변의 지하차도는 안전한지,
윤소영 기자가 돌아봤습니다.


◀ 리포트 ▶

지하차도에 빗물이 15cm 이상 차오르는 상황을
가정해 봤습니다.

자동으로 경보음이 울리며 동시에 진입로에
설치된 차단막이 내려와 차량들의 통행을
막습니다.

6년 전 이맘때, 집중호우로 침수 피해를 입었던
대전의 한 지하차도에도 이 같은 차단막이
설치됐습니다.

이종상/대전시 도로관리팀장
"공무원이 인지하지 않아도 수위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하는 시스템입니다."

이곳에서 7백여 m 떨어진 또 다른 지하차도에
가봤습니다.

바로 옆에 갑천이 흐릅니다.

국토교통부에서 침수 위험이 높은 지하차도로
지정돼 자동 차단 시설을 의무적으로 둬야
하지만, 아직 설치되지 않았습니다.

"장마가 이미 시작됐지만, 이 지하차도는
다음 달이 돼서야 차단시설 공사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1년 전, 14명이 숨진 오송 지하차도 참사
당시에도 자동 차단 시설이 있었다면
피해를 줄였을 거라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대전시는 시내 지하차도 48곳 가운데 83%인
40곳이 침수 위험이 높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자동 차단 시설이 설치된 지하차도는
5곳에 불과합니다.

세종시와 충남도도 자동 차단 시설의
의무 설치 대상인 지하차도 가운데 1/4가량만
설치가 완료됐습니다.

자동 차단 시설 하나를 설치하려면 수억 원의
예산이 필요한데, 지자체가 모두 부담하기에는
역부족이기 때문입니다.

오송 참사 이후 대전시 등 지자체는 우선
올 여름 CCTV와 현장 순찰을 강화해
지하차도의 침수 피해를 막겠다고 밝혔습니다.

유충무/ 대전시 자연재난팀장
"공무원하고 경찰, 민간인 등 4명을 한 팀으로 구성해서, 4인 담당제를 구성해서 모든 지하차도마다 배치해서 집중호우나 호우특보 시에 지하차도 현장에 나가서 (대비할 계획입니다.)"

시는 또, 3년 안에 침수 위험이 큰 지하차도에
자동 차단 시설을 모두 설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MBC뉴스 윤소영입니다.
◀ END ▶

윤소영



▶대전MBC 코로나19 상황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