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암반' 뚫고 40m 무선통신..세계 최초 성공/데스크

◀앵커▶

지하 깊숙이 뻗어 있는 광산에서는

암반과 흙에 둘러싸여 있어

자유롭게 무선통신이 이뤄지지 못하는데요.



단단한 바위를 뚫고 40미터 거리에서

음성신호를 주고받는 무선통신 기술이

세계 최초로 개발됐습니다.



광산 붕괴 등 각종 사고에서 매몰자의

생존 여부를 빨리 확인할 수 있을 전망입니다.



보도에 김윤미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10월 경북 봉화의 광산에서

토사가 쏟아져 들어오면서 갱도가 매몰돼

작업 중이던 2명이 고립됐던 사고.



무려 221시간, 사고 열흘 만에 기적적으로

두 발로 걸어서 살아 돌아왔지만,



사고로 내부 통신망이 모두 끊기는 바람에

생존 신호를 확인하기 위해 천공기를 투입해

구멍을 뚫어 내시경을 넣거나 음파탐지기까지 동원해야 했습니다.






강원도의 한 광산으로 차량이 들어갑니다.



마치 개미집처럼 여러 개의 층으로 나눠진

복잡한 구조의 광산 속에

가로세로 1m 크기의 송신기를 설치한 뒤,



신호를 보내자, 석회암 바위층을 뚫고

40m 거리에 떨어진 다른 층 갱도의 수신기로

신호가 도착하는 무선통신에 성공했습니다.



땅속에서 신호가 줄거나 반사되는

기존의 전파 대신 자기장을 활용했습니다.



광산이 많은 호주의 수십 미터 크기에 달하는

송·수신기보다 크기도 훨씬 소형화했습니다.




김장열/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파연구본부 선임연구원

"송신기 같은 경우에는 안테나 크기를 1m 크기로 소형화시켰고, 손바닥만 한 크기의 자기 센서라고 하는 센서를 사용해서 수신기를 구현했습니다."



지상과 땅속을 잇는 기지국 역할을 하는

안테나를 설치할 경우, 광산 붕괴 등 사고에서

생존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조인귀/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파원천기술연구실장

"내가 사고 난 지점을 정확하게 내가 살아있다는 걸 알려주고 그리고 내 위치가 어디라는 걸 알려줄 수 있는 중요한 어떤 구조 측면에서 의미 있는 그런 활용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광산 붕괴나 지하공동구 화재 등의

사고에서의 구조와 대응은 물론,

지하에 묻힌 가스관과 송유관 등의 관리에도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연구팀은 앞서 성공한 수중 무선통신과 함께 통신 가능 거리를 100m 이상으로 늘려

상용화에 나설 계획입니다.



MBC 뉴스 김윤미입니다.



(영상취재: 여상훈, 그래픽: 조대희)

김윤미



▶대전MBC 코로나19 상황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