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보령시 행정 못 견뎌서 기업 옮깁니다/데스크

◀ 리포트 ▶
보령에서 가장 큰 매출을 내는
자동차 부품 업체가 컨베이어 설비를
스마트팜에 적용하는 새로운 공법을 개발해
주목을 받은 바 있는데요.

그런데, 보령시가 이 설비를 철거하라는
명령을 내렸고, 업체 측이 반발해
행정소송이 진행 중입니다.

이 업체, 결국 대전으로 회사를 옮기기로 해
논란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김태욱 기자입니다.

◀ 리포트 ▶

보령 관창산업단지에 입주한
한 자동차 부품 업체.

갓 생산된 철제 바퀴가
컨베이어 설비에 내걸려 줄지어 움직입니다.

업체 측은 이 설비를 똑같이
스마트팜에 적용했습니다.

푸른 배추와 열무가 3줄씩 천천히 이동하고
중간 지점에서 배양액을 보급 받습니다.

지난 2019년 컨베이어 설비를
식물재배 공정에 도입하는
이 아이디어를 실현하기 위해
공장 뒤편에 비닐하우스 4동과
컨테이너 2동을 설치했습니다.

실제 농작물이 잘 자라는지 시험 재배 중인데, 획기적인 기술을 인정받아 30여 개의 국내외
특허도 취득했습니다.

"사람이 비닐하우스에 들어가지 않고도 밖에서 편하게 농작업을 할 수 있는 게, 이 기술의 핵심입니다."

그런데 지난 2021년 자동차 관련 산업단지에
있는 이 업체가 스마트팜 시설을 운영한다는
제 3자 민원이 접수되면서,
보령시는 시설 철거 명령을 내렸습니다.

업체 측은 보령시가 별다른 허가가
필요하지 않다고 했다가 말을 바꿨다며
행정심판과 행정소송을 잇따라 제기했습니다.

최 훈 / 자동차 휠 제조업체 대표
"보령시장님이 여기 오셨을때 구두로 내가 물어봤었고, 또 시청 공무원들이 왔을 때도 수차례 물어봤어요. 어떤 허가절차가 필요하냐."

재판은 수년째 계속됐고, 결국 장기간 송사에 지친 이 업체는 대전시와 업무협약을 맺고
오는 2026년까지 회사를 옮기기로 했습니다.

이 업체는 지난해 보령 민간기업 중 가장 많은, 1,100억 원가량의 매출을 기록했는데
이전하면 지역 경제와 세수에도
큰 타격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보령시는 행정소송이 진행 중이라며
대면 인터뷰를 거부했습니다.

다만, 해당 필지에 자동차나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이외 업종은 관리기관의 허가를 받아야하는데, 이를 위반해 원상회복을 명령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업체 주장과 달리 보령시에서
허가가 필요하지 않다고 안내한 바가 없고
산업단지 내 농장 입주가 가능하게 하는
관련법 시행령이 개정 중인 만큼,

충남도에 관련 인허가가 처리될 수 있도록
건의할 계획이라는 입장을 서면으로
밝혀 왔습니다.

MBC뉴스 김태욱입니다.
◀ END ▶
조형찬



▶대전MBC 코로나19 상황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