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학교도 밀어주기 의혹"...손 놓은 교육당국/데스크

◀ 앵 커 ▶

교복 카르텔 기획보도 순서입니다.


대전 지역 교복 업체 간 담합에 

일부 학교도 연루됐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올해 한 학교의 교복 업체 입찰에서

접근성이 뛰어난 다른 브랜드 업체를 

제치고, 수년째 선정된 업체가 사실상 

최고가로 또다시 선정된 건데요.


교육당국의 전반적인 조사가 필요해보입니다.


윤소영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지난 9월, 대전의 한 중학교에서

내년도 교복 업체를 선정하기 위한

경쟁 입찰이 진행됐습니다.


업체 2곳이 참여했지만, 

한 곳이 '부적격' 판정을 받아

나머지 업체가 자동으로 선정됐습니다.


결국, 학교는 거의 최고 단가인 33만 원 선을 

제시한 교복 업체와 계약을 맺었습니다.


입찰가는 절차상 마지막 단계에서 공개되기 

때문에, '부적격' 판정을 받은 업체의 

희망 가격은 학교조차 확인할 수 없습니다.


다만, 탈락한 업체는 올해 다른 학교에서

20만 원 미만으로 낙찰된 사례가 많았고,

선정된 업체보다 학교에서 거리상으로도

더 가까운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반면, 선정된 업체는 수년간 해당 학교와 

계속 계약을 맺어온 것으로 드러나 

업계 관계자들 사이에서 특혜 의혹이 

불거졌습니다.


교복 업계 관계자

"(업체가) 골치 아프다, 그러면 학교에서 부적격 시킬 수 있는 거야. 억울하지."


이에 학교 측은 제안서를 접수하더라도 학생, 학부모, 교원으로 구성된 교복선정위원회에서 평균 85점 이상의 점수를 받아야 한다며, 


탈락한 업체는 해당 평가 과정에서 기준 점수에 미달해 부적격 판정을 받았다고 해명했습니다./


학교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특정업체가 비싼 값에 교복을 계속 공급한다면

학교의 신뢰도 저하는 물론 학부모들에계

피해가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재섭/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사무처장

"무상인 줄 알고 가서는 다양한 추가 금액을 

지불해야하고 비용이 발생하는 거잖아요. 

이런 문제는 교육 정책 자체에 대한 신뢰를 

무너뜨린다고 봅니다."


"교복 업체 간 담합은 가계 부담을 가중시키는 것은 물론, 교육 현장의 공정과 신뢰마저 

위협하고 있습니다.


공정위의 철저한 감시, 학교의 적극적인 신고,

교육당국의 실효성 있는 문제 해결 

노력이 절실히 요구됩니다."


MBC뉴스 윤소영입니다."

◀ END ▶

윤소영



▶대전MBC 코로나19 상황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