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한전기술 원설본부 잔류 필요/데스크

◀ 앵 커 ▶
네, 그럼 행정팀 고병권 기자와 함께
원설본부 김천 이전 움직임과 관련해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Q.1
먼저, 원자로 설계 개발 본부는 어떤 연구를
하는 곳이고, 강제 이전의 배경 간단하게
정리해 볼까요?

A.1
네, 예를 들어서 원자력 발전소를 자동차라고 비유하겠습니다.

원자로 설계 개발 본부는 자동차에서
가장 중요한 엔진을 만드는 곳입니다.

핵분열 반응이 일어나는 원자로, 열을 식혀주는 냉각기, 에너지를 전환하는 증기 발생기 등을 모두 원자로 1차 계통이라고 하는데, 여기를
설계하는 곳입니다.

1970년대부터 대전에 있는 한국 원자력연구원 소속이었는데, 1997년에 경기도 용인 한전기술로 이관됐습니다.

하지만, 대전에 있는 유관기관과의 협업 때문에
원설본부는 대전에 남았고요.

2015년 경기도 용인에 있던 한전기술이 경북
김천 혁신도시로 옮길 때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그런데, 최근 한전기술이 이 연구단을
경북 김천으로 강제 이전하겠다고 나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여기에는 김천이 지역구인 송언석
국회의원의 입김이 강하게 작용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Q.2
네, 그러니까 한전기술은 원설본부가
본사가 있는 김천으로 와야 한다는 거잖아요.
대전에 원자력연구원도 있고 같이 일하기는
여기가 나을 것 같은데?

A.2 네 맞습니다. 원설본부가 대전에 있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가 바로 원활한
연구입니다.

원설본부와 협업 중인 대전지역 기관만
원자력연구원 등 무려 31개에 달합니다.

특히, 정부는 올해 원설본부가 주도하고 있는
소형모듈 원자로 SMR예산을 10배 가까이
늘리면서 주도적인 연구를 기대하고 있는데,
연구진이 김천으로 이전하면 기관들과 협업이 어려워집니다.

대전에 있는 협력 기관들과
출장이나 메일이나 전화, USB등으로 연락을
주고 받아야 하는데, 여기에 연간 예산만
6억 원 정도 추산되고, 보안 문제도 우려됩니다.

물론, 한전기술 입장으로 좁혀보면
원설본부와 다른 부서들이 같이 있는 것이
좋을 수 있지만, 국가적으론 그렇지 않다는
것입니다.

특히, 윤석열 정부가 원전 생태계 복원을
가장 중요하게 추진하는데, 강제 이전은
원전 생태계를 무너뜨리는 정책입니다.

Q.3
원자로 설계 본부가 대전에 잔류하려면
앞으로 어떤 대책이 필요한가요?

A.3
가장 시급한 건 3월 말로 졸속 추진되는
김천 이전 자체를 막는 겁니다.

이를 위해서는 한전기술 본사가 먼저
이전 철회를 해야 하는데 이는 김천이 지역구인 송언석 국민의힘 의원과 산자부는 물론
국가적인 공감대가 형성돼야 합니다.

또, 같은 논란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김천 이전을 변경하는 계획이 한전기술 본사와 산자부, 국토부 등을 거쳐 확정돼야 합니다.

네, 말씀 감사합니다.











고병권



▶대전MBC 코로나19 상황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