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12.3 내란 당시 계엄 사령부가
포고령을 통해 병원 현장을 이탈한
의료인을 처단하겠다고 밝혔는데요.
단계적인 소통을 포기한 정부와
의료계 사이의 갈등이 봉합 불가능한 수준까지
치닫는 가운데, 국민들이 느끼는 위기감은
커져만 가고 있습니다.
우리가 대한민국 기획보도,
오늘은 윤소영 기자가 의료계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 리포트 ▶
지난 3일 밤 발표된 계엄사령부 포고령입니다.
"의료 현장을 이탈한 모든 의료인은 본업에 복귀하라며, 이를 위반할 경우 계엄법에 따라
'처단'한다" 내용이었습니다.
공포의 6시간 동안, 처단 대상으로
지목된 건 의료계 뿐이었습니다.
올해 초, 전공의가 이탈하는 대학병원에서
마지막까지 환자를 돌봤던 한 청년의사는
그날 밤, 두려움보다 깊은 체념을 느꼈습니다.
필수 의료 위기에 인력만 늘리면 된다는
정부 대책에 깊은 상처를 받아왔다는 그는
이제 더 이상 의료 현장에 설 용기가
나지 않는다고 털어놨습니다.
김현수 / 전 대학병원 전공의
"정말 많은 사람들을 살렸고, 밤새워가며 살렸고, 그 사람들이 앞으로 건강한 삶을 영위했으면 좋겠는 마음도 있고.. 그런 순간들이 많이 희미해졌고."
그와 같이 체념하는 의료인들이 많았습니다.
지난 9일 마감된 내년 상반기 전공의 모집에서 대전 지역 대학병원 3곳에 지원한 전공의는
고작 10명에 불과했고,
다른 충청권 대학병원들은 지원자를 모두 합쳐도 한 자릿수에 그쳐, 전체 모집 정원 255명 중
지원율이 7% 수준에 그쳤습니다.
대학병원 관계자
"의료의 질도 점점 낮아질 것이고, 아마 또 다른 형태의 의료대란이 한 번 더 일어날 것으로.."
충청남도의사회는 12.3 내란 이후 즉시 윤석열 대통령을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의사회는 윤석열 정부의 일방적인
의료 정책으로 인해 수개월간 의료인들은
사실상 계엄 상태를 겪었다고 비판했습니다.
그 간의 잘못을 깨닫고 스스로
내려오라는 의미로 탄핵이 아닌
하야를 촉구했습니다.
이주병 / 충청남도의사회장
"'법정 최고형을 하겠다' 어떤 사법부의 이야기도 아닙니다. 그냥 행정부에서 계엄령과 같은 걸 우리한테 계속 이야기를 했던 거죠. '미안하다' 사과가 들어있는 게 하야거든요."
의료계와의 공식적이고 단계적인 소통 대신
'처단'을 택한 윤석열 대통령.
12.3 내란의 후폭풍은 병원 진료조차 어려워진
지역 사회에 더욱 심각한 위기를 초래하고 있습니다.
MBC뉴스 윤소영입니다.
◀ EN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