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의장이 뭐길래 (대전시의회)/데스크

◀앵커▶

대전시의회가 우여곡절 끝에

의장은 뽑았지만 상임위원회 배분을 놓고

여전히 삐걱대고 있습니다.



이쯤되면 지방의회를 바라보는 시선이

고울 리 없는데요,



의장직을 둘러싸고 되풀이되는 감투싸움

그 내막을 들여다봤습니다.



문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전시의회 의원들은 한 달에

월정수당과 활동비를 합쳐 488만 원 정도를

받습니다.



월급과 비슷한 개념인데 의장이 되면,

평의원과 달리 급여 외에 한 달에 500만 원,

1년이면 6천만 원을 업무추진비로 쓸 수

있습니다.



여기에 차량과 비서 3명도 지원받고
자치단체장급 의전이 주어지고 집행부 정책이나

예산심의 등에서 영향력도 큽니다.



무엇보다 의장직을 발판으로 자치단체장이나

국회의원 선거 등에 도전할 수 있는 이른바

정치적인 체급을 키울 수 있습니다.



이처럼 권한이 막강하다보니 광역·기초할

것 없이 자리싸움이 반복되는데, 특히

후반기 의장직은 2년 뒤 지방선거와도

연결되는 탓에 경쟁이 더 치열하고 그만큼

파행이 잦습니다.



부의장과 상임위원장도 각각 연간 3천만 원과 천500만 원의 업무추진비 등이 주워져 권한이

만만치 않아 또다른 자리싸움의 빌미가

되고 있습니다.



최근 대전시의회 의장단 구성을 둘러싼

갈등과 관련해 더불어민주당은 당 차원

징계 여부 등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 위원장] 
"원 구성과 관련된 일련의 상황에 대해서

마무리가 되면 종합적으로 윤리심판원

내부에서 징계 여부, 징계 정도에 대해서

판단을 좀 해봐야 될 것 같아요."



하지만 무기명 투표로 이뤄지는 의장단

선출 방식 자체를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설재균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간사] 
"(의장, 부의장 선거를) 기명 투표로

바꾸는 것으로 규칙을 변경해서 시민들이

어떤 의원이 어떤 투표를 했는지 투명하게

알 수 있게 해 주는 그럼 제도적인 변경도

필요하다고 보입니다."



풀뿌리 민주주의 근간인 지방의회,

하지만 여전히 입법 기관으로서의 무게감을

찾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MBC뉴스 문은선입니다.



(영상취재: 김준영, 그래픽: 정소영)
문은선



▶대전MBC 코로나19 상황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