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잇따르는 아동학대..부족한 전담인력/데스크

◀앵커▶

2021년 한 해를 돌아보는 기획뉴스

순서입니다.



앞서 보도한 최찬욱 사건부터

20개월 영아 학대 살해,

어린이집 원아 학대 치사 사건까지..

올 한 해 유독 아동학대 사건이 많았는데요.



아동학대를 조사하는 공무원을

전담 배치하는 등 아동 보호의

공적 책임제가 가동됐지만,

현장 인력은 태부족이고

사후 관리는 여전히 미흡한 실정입니다.



윤웅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3월, 어린이집 원아를

억지로 눌러 재우려다 숨지게 한 원장.



동거녀의 20개월 된 딸을 성폭행하고

숨지게 한 뒤 시신을 유기한 사건까지.



올 한 해 아동의 인권이 사라진

잔혹한 학대 사건이 끊이질 않았습니다.



코로나19로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이 많아진 탓인지 아동학대 신고는

2년 만에 3~40% 이상 늘었습니다.//



아동학대 행위자 역시,

부모가 80% 이상으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친인척까지 포함하면 거의 90%에 달할 정도로 가정 내 학대가 많습니다.//



아동학대가 증가하자 급기야 정부는

지난해 10월부터
기존 아동보호전문기관 등 민간 기관이

수행하던 아동학대 관련 조사 등을

공무원이 전담토록 했습니다.//



아동학대 관리를 민간에서 공공영역으로

전환해 아동의 보호를 지자체와 정부가

책임지겠다는 건데, 전담공무원은 턱 없이

부족해 제대로 된 현장 조사도 쉽지 않습니다.


이현아 / 대전시 가족돌봄과 주무관

"아동학대다 판단되면 아이의 응급조치나

분리하는 조치까지 한다고 그러면

2~3시간 소요되거든요. 야간 출동했다가

(인력이 없어서) 똑같이 9시에 출근해야.."



보건복지부는 신고 사건 가운데

아동학대로 인정된 사례 50건당 1명의

전담공무원을 배치해 현장 조사할 것을

권장하고 있지만, 이를 채운 지자체는

우리 지역에 한 곳도 없습니다.//



게다가, 아동학대 재발 방지 등을 위한

사후 관리는 여전히 민간 영역에 두면서

'반쪽짜리' 공공화로 전락해, 체계적인

일원화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홍창표 / 대한아동학대방지협회 국장

"(아동학대 현장조사와 사후관리가) 동시에

이뤄져야지만 아이들을 보호할 수 있는 부분이 생기고, 언론 보도되는 중대 사건들이 터지지

않을 텐데, 사례관리는 그냥 민간에서 운영하는 부분으로만.."



현장조사도 사후 관리도

인력과 전문성이 턱없이 부족한 현실,



잊을만하면 반복되고, 이미 돌이킬 수 없는

희생이 생긴 뒤에야 알려지는 아동학대

예방을 위해 보다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해 보입니다.



MBC뉴스 윤웅성입니다.

(영상취재 : 황인석, 그래픽 : 정소영)

윤웅성



▶대전MBC 코로나19 상황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