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대학가로 퍼지는 애도.."희생자 혐오 안돼"/데스크

◀앵커▶

이번 이태원 참사에서 가장 피해가

컸던 세대가 20대인 만큼

애도의 물결도 대학가를 중심으로

번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일부에선 사람 많은 데

놀러 간 청년들이 잘못이라고

비난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전문가들은 누구나 피치 못할 재난을

당할 수 있다며 희생자의 책임으로

돌리는 언행은 피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윤웅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태원 참사로 재학생 1명이 희생된

대학에 합동분향소가 마련됐습니다.



또래 학생들은 물론 교직원과

입점 업체 직원들까지 애도의 발길이

종일 이어졌습니다.




도현선 / 한밭대학교 재학생

"잘 놀고 오고 싶은 마음이었을 텐데,

상황이 안 좋게 됐으니까 그런 마음을

이해 못 하는 것도 아니고 안타까운 심정에서

명복을 빌러 왔어요."



그런데 일부에서는 이번 참사의 주된

희생자인 2·30대 청년들이 사람이 많은

이태원을 간 게 잘못이라며, 책임을

희생자들에게 돌리는 듯한 비난을 하기도

합니다.



개인의 잘못에 왜 국가가 애도 기간을

정하고, 장례비 등을 지원하냐는 겁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의 의견은 다릅니다.



우선 헌법에 따라 국가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재해를 예방하고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할 의무가 있습니다.




최호택 / 배재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술을 먹고 노는 상황에 있다 할지라도,

재난을 통해서 그분들이 사고를 당하는

순간이 온다면 그 이유 여하를 떠나서

먼저 우리 국민의 안전이 중요하기 때문에

보호하고, 또 그다음 조치를 취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심리학적으로는 자신이 안전하다고 믿기 위한

'자기 합리화'라고 진단합니다.



참사가 구조적 문제로 발생했다면

나에게도 일어날 수 있다는 얘기이기 때문에

걱정과 불안을 회피하기 위해 책임을

개인인 피해자들에게 돌린다는 겁니다.




전우영 /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자기 자신은 그런 곳에는 가지 않는

사람이기 때문에 앞으로도 계속 안전할 거라고

생각하는 겁니다. 일종의 자기 합리화

전략인데요."



하지만, 이번 사고와 비슷한 일은

언제 어디서든,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희생자들을 탓하는 건

재발 방지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합니다.




전우영 /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불행의 진짜 원인에 대해서는 눈 감게

한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문제 해결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수립하는 걸 방해할 수 있는 거죠."



이번 참사로 대전과 충남에선 2,30대 청년

9명이 숨졌습니다.



MBC뉴스 윤웅성입니다.

(영상취재 : 신규호)

윤웅성



▶대전MBC 코로나19 상황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