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MBC

검색

[리포트]행복한 장소 기억 뇌 비밀 밝혔다!

고병권 기자 입력 2019-07-31 20:30:00 수정 2019-07-31 20:30:00 조회수 2

◀앵커▶


행복한 추억이 깃든 장소를 기억하는 뇌의
비밀이 풀렸습니다.

뇌에는 별 모양으로 생겼다고 해서 '별 세포'로 이름 붙은 비신경 세포가 150조 개나 있는데요.

이 별세포가 행복한 공간을 기억하는 열쇠라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처음으로 규명했습니다.

고병권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쥐 한 마리가 줄무늬가 그려진 방 안에서 주로 머뭅니다.

통로가 연결된 바로 옆 어두운색 방에 가는 건 꺼립니다.

하지만, 어두운 방에 있을 때
약물 주사로 뇌세포를 자극하자 어두운 방을 더 좋아하게 바뀝니다.

기초과학연구원과 경북대 KIST 공동 연구팀은 이런 동물 실험을 통해 행복한 공간을
기억하는 데 뇌 속 해마의 별세포가 관여하는 사실을 처음 밝혀냈습니다.

별 세포는 150조 개에 달하는
비신경세포인데, 특정 공간에서 행복한 느낌이 들 때 이 별세포가 자극됩니다.

이로 인해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 분비가 촉진되면서 행복한 공간이 좋은 기억으로
남는 것입니다.

[이창준 단장 /IBS 인지 및 사회성연구단] 
"저희가 최초로 좋은 감정이 생겼을 때 그 장소를 기억하게 되는 기전을 처음으로 밝혔습니다."

행복한 추억이나 기억을 활성화하면
트라우마가 있는 공간에서도
불안해하지 않을 수 있고, 특정 장소를 전보다 더욱 좋아하게 만들 수 있는데,
이를 위한 기초연구가 마련된 것입니다.

[고병권 기자] 
"연구팀은 후속 연구를 통해 선호가
심해질 경우 생기는 집착이나 중독 현상도 규명할 계획입니다."

이번 연구는 셀 자매지인 셀 리포트 온라인판에 게재됐습니다.

MBC 뉴스 고병권입니다.

영상취재: 여상훈
화면제공: 기초과학연구원

  • # 비신경세포
  • # 별세포
  • # 글루타메이트
  • # 행복공간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고병권 kobyko80@tjmbc.co.kr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