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MBC

검색

교복 업체 담합 반복⋯교육청 대책은 말뿐/데스크

윤소영 기자 입력 2025-08-19 21:23:48 수정 2025-08-19 21:23:48 조회수 8

◀ 앵 커 ▶

내년도 신입생 교복 제작을 앞두고

각 학교가 업체 선정 절차에 들어갔습니다.

그런데 지역 교복 업체들이

가격 담합에 나선 정황이

벌써부터 드러나고 있습니다.

지난해에 이어 반복되는 문제인 만큼,

교육당국의 조치가 시급합니다.

윤소영 기자입니다.

◀ 리포트 ▶

내년도 교복 제작을 위해 대전에서

가장 먼저 입찰 공고를 낸 대덕중학교.

하지만 지난달 공고는 무산됐습니다.

두 개 이상 업체가 참여해야 하지만,

업체 한 곳만 응찰했기 때문입니다.

약 보름 만에 다시 공고를 냈지만,

또다시 1개 업체만 참여했습니다.

대전에는 30곳 넘는 교복 업체가 있지만,

현재까지 입찰 공고를 낸 학교 4곳 중 3곳이

단독 응찰 등의 이유로 무산됐습니다.

이런 경우, 학교는 한 업체와

수의계약을 맺을 수밖에 없어

교복값이 최고가로 정해질 가능성이 큽니다.

대전 00 중학교 관계자

"(한 교복 업체와) 수의계약 매번 하는 거가 좀 부담스러워서 인근 업체들에 (교복) 샘플을 제공해달라고 하는 데 어렵다고.."

세종의 상황도 다르지 않습니다.

전체 학교의 30%에 달하는 16곳이

입찰 공고를 냈지만, 줄줄이 단독 응찰이거나

아예 업체가 나서지 않아 모두 유찰됐습니다.

전형적인 교복 업계의 담합 수법입니다.

교복 업체 관계자

"우리 지역 같은 데는 담합을 해서 (다른 학교) 입찰을 참여하면 안 되는데.."

해마다 교복 업체끼리 담합이 반복되면서

대전과 세종의 교복값은 평균 30만 원을 웃돌아

다른 지역보다 10만 원가량 더 비쌉니다.

잇따른 질타에 대전교육청은 올해 초

교복 구매 정책 개선을 검토하겠다고 했지만,

아무런 변화가 없는 겁니다.

세종교육청 역시, 담합이 적발되면

계약을 제한하겠다고 엄포를 놨지만,

말뿐인 조치에 그치고 있습니다.

김재섭 /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사무처장

"경찰 수사나 공정거래위원회 수사를 통해서 담합 여부를 철저하게 파악해야 되고요. (교육청이) 교복 담합 문제를 방기한다면 사실상 공범이나 다를 바 없다.."

이달부터 교복 구매 절차가 본격화하는 만큼

교육 당국의 발 빠른 대응 여부가

피해 확산을 막을 분수령이 될 전망입니다.

MBC 뉴스 윤소영입니다.

◀ END ▶

  • # 교복
  • # 가격
  • # 담합
  • # 교육청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