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연&축하
일요일날 간지에 대하여 공부하다가 - 사실은 그냥 책 읽다가
우리 역사를 들여다보면 수많은 사건들의 연속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역사의 거울을 활용할 줄 아는 사람이 미래를 개척할 수 있는 것입니다. 보다 효과적인 역사 흐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조선 시대의 간지가 포함되어 역사적 사건에 대한 간략한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역사적 이해와 함께 간지와 보다 친근해지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조선조의 간지 관련 사건 목록 - 간지순서에 따른 배열
|
甲(갑) - 4년 |
乙(을) - 5년 |
丙(병) - 6년 |
丁(정) - 7년 |
戊(무) - 8년 |
|
갑자사화 (1504) |
을묘왜변 (1555) |
병자호란 (1636) |
정묘호란 (1627) |
무인정사 (1398) |
|
己(기) - 9년 |
庚(경) - 0년 |
辛(신) - 1년 |
壬(임) - 2년 |
癸(계) - 3년 |
|
기축옥사 (1589) |
경자모계사건(1900) |
신사무옥 (1521) |
임진왜란 (1592) |
계축화옥 (1613) |
◈용어 관련 설명
|
용 어 |
해 설 |
사 건 |
|
사화(士禍) |
조선 전기에 조정 중앙관료의 훈구파와 지방의 학계의 사림파 사이에 반목과 세력 싸움으로 주로 사림의 많은 선비들이 화를 입은 사건으로 4대 사화가 대표. |
무오사화,갑자사화 |
|
환국(換局) |
조선 중기 이후 당쟁의 와중에서 권력을 잡았다가 다시 축출되는 과정의 연속이었기에 축출되었다가 다시 중앙 권력에 올라설 때 사용하는 용어. |
갑술환국,정미환국 |
|
옥사(獄事) |
사화나 환국과 달리 반역 등 중대한 사건과 관련된 인물을 다스리는 일로 사화, 환국, 무옥 등을 모두 포괄할 수 있는 용어. |
기축옥사,을해옥사 |
|
무옥(誣獄) |
상대 당파를 축출하기 위해 일종의 모함과 누명을 씌워 무고하게 옥사를 하게 하는 일이나 그 반대의 경우. |
신사무옥 |
|
양요(洋擾) |
조선 후기 서양의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을 서양인의 소요라는 뜻으로 양요라 함. |
신미양요,병인양요 |
|
통공(通共) |
정조대에 상업의 활성화를 위해 시전의 독점 특권인 금난정권을 폐지하고 자유 상업 활동을 가능하게 한 정책. |
정미통공,신해통공 |
|
박해(迫害) |
조선 후기 서학과 천주교를 신봉하는 사람들을 혹세무민하는 사교집단으로 규정 혹독한 탄압을 했던 일로 사옥(邪獄)으로도 표현함. |
신해박해,을묘박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