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지난 9월, 국가 전산망 마비 사태를 부른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가
기본적인 안전 수칙도 지키지 않은
'인재'였다는 수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그 배경에는 '불법 하도급'이 있었습니다.
경찰은 국정자원 원장 등 19명을 입건했습니다.
이혜현 기자입니다.
◀ 리포트 ▶
국가정보자원관리원 5층 전산실,
배터리가 쌓인 선반 뒤로 불꽃이 튀더니
순식간에 시커먼 연기와 불길이 치솟습니다.
당시 배터리를 층층이 쌓아둔 '배터리 랙'
8개를 옮기는 작업 중이었습니다.
화재 발생 두 달여 만에 나온 수사 결과,
이번 화재는 배터리 전원을 끄지 않고
전선에 절연 테이프조차 감지 않은 채
작업하다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현장 감독자가 시범 삼아 끈 첫 번째
배터리 랙을 제외하고, 나머지 7개 랙은
모두 전원을 켜 놓은 채 작업했습니다.
조대현 / 대전경찰청 형사기동대장
"분리한 전선에 각각 절연 작업을 해야 되는데 절연 작업을 실시하지 않고 작업을 한 과실로 인해서 발생한 걸로 확인을 했습니다."
경찰은 앞서 불법 하도급 사실도 확인했습니다.
국정자원 공사를 맡은 원청이 하청에
재하청까지 넘겼지만, 현장에서는 모두
원청 직원인 것처럼 꾸며 작업한 겁니다.
불법 하도급 업체 직원이었던
핵심 작업자들은 작업 요령조차 몰랐고
감독자도 무자격 업자였습니다.
조대현 / 대전경찰청 형사기동대장
"작업 내용을 설명할 당시에 일부 작업자들이 지하에 사다리를 가지러 자리를 비웠기 때문에‥"
경찰은 안전 관리 책임을 물어
국정자원 원장과 작업자 등 10명을
업무상 실화 혐의로 입건했습니다.
또 하청 업체 대표를 포함해 원·하청 업체
관계자 10명을 불법 하도급을 한 혐의로
추가 입건했습니다.
입건된 19명은 이달 말 경찰의 수사가
마무리되는 대로 검찰에 넘겨질 예정입니다.
"경찰은 이번 화재를 계기로 배터리 이설
작업 기준과 하도급 관리 기준을 개선하도록
관련 부처에 권고할 방침입니다.
MBC뉴스 이혜현입니다."
◀ END ▶
- # 발주금
- # 중복부과
- # POS기
- # 김밥프랜차이즈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