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오늘 열린 대전시 국정감사에서는
이장우 대전시장의 12.3 비상계엄 당시
행적과 0시 축제의 기부금 동원 논란 등이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하지만 시의 현안과 정책 검증은 없고
정치 난타전으로만 전락했다는 평가도
나옵니다.
박선진 기자입니다.
◀ 리포트 ▶
대전시 국정감사는 시작부터
12·3 비상계엄 당시 이장우 시장의 행적과
탄핵 반대 집회 참석 논란에 대한
설전으로 치달았습니다.
이 시장의 "계엄에 동의하지 않기 때문에
출근하지 않고 전화로 보고를 받았다"는
발언에 질타가 쏟아졌습니다.
이장우 / 대전시장
"동의하지 않는 일에 와서 지휘할 수는 없습니다."
모경종 / 민주당 국회의원
"동의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더더욱이나. 시에 나와서 시민 여러분에 대해서 어떤 메시지를 보낸다거나 시청에 있는 공무원들도 다 나와서 비상계엄에 대해서 어떻게 해야 할 지 대책을 논의하는데 오히려 시장이 거기에 대해서 책임을 방기하는 것은…"
비상계엄 당시 행적을 물은 대전MBC
취재진에게 왜곡보도하니 답변하지 않겠다고 하는 등
이 시장의 언론관도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이해식 / 더불어민주당 의원
"지방언론을 진흥해야 될 책임이 지방자치단체장에게 있고. 그런데 이렇게 언론에 대해서 편향된 시각을 가지면서…"
또 '0시 축제' 관련해서는 시 예산은 물론
기부금까지 동원한 불투명한 권력형 모금
아니냐는 문제도 제기됐습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당시
현장을 찾지 않았다는 점도 지적됐는데
이 시장은 행정안전부 소관으로
갈 이유가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습니다.
이장우 / 대전시장
"책임 소재는 행안부 장관이 지휘권을 행사하고요. 불나고 그러면 당연히 그 책임도 행안부 장관한테 있는 겁니다."
이어진 대전경찰청 국정감사에서는
지난 7월 전 여자친구를 흉기로 살해한
장재원 사건을 두고, 피해자가 네 차례
신고했지만 경찰이 대응하지 못했다며
강한 질타가 쏟아졌습니다.
정춘생 / 조국혁신당 국회의원
"국민을 공분케 하는 사건들이 반복되고 있는데 왜 경찰의 대응은 바뀌는 게 없습니까?"
또 지난 2월 초등학교에서 교사에게 살해된
고 김하늘 양 사건 당시 경찰의 발견이
늦었다며, 보다 정교한 피해자 위치추적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는 요구도 나왔습니다.
MBC뉴스 박선진입니다.
◀ END ▶
- # 대전시
- # 대전경찰청
- # 국정감사
- # 12.3비상계엄
- # 국정자원관리원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