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대전고등법원 국정감사에서
"JMS 정명석 사건 항소심 재판부가
성폭행 당시 녹음파일 등사를 허가해
2차 피해를 초래했다"는 질타가 쏟아졌습니다.
또 홍성지원에서 인공지능 AI가 만든
가짜 판례가 인용되는 일까지 벌어지며,
사법기관의 신뢰가 흔들리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김성국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여신도 성폭행 혐의로 기소돼 대법원에서
징역 17년이 확정된 JMS 총재 정명석.
해당 사건 항소심을 맡은 대전고법은
피고인 방어권을 이유로 성범죄 당시
녹음 파일 등사를 허가했습니다.
하지만 이 파일이 외부로 유출됐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피해자가 심각한
정신적 피해를 겪게 됐고, 국정감사에서는
이를 두고 강한 질타가 쏟아졌습니다.
김기표 /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사 직후 정명석 변호인이 JMS 신도들 사무실로 다 불러 모아서 녹음 파일 들려주면서 제3자 유출이 시작됩니다."
당시 검찰과 피해자 측은 2차 피해 우려와
편집·조작이 없었다는 국과수 감정 결과를
이유로 등사를 반대했습니다.
메이플 / 피해 여신도 (재판부와의 통화 2024.4.19)
"(등사 허락하면) 제가 고소 취소할게요. 저 더 이상 안 할래요. 너무 힘들어요. 저도 제 삶을 살아야 되거든요."
이에 대해 추미애 법제사법위원장도
"법원이 직권으로 감정 의뢰를 하면 되는
문제"라고 비판했습니다.
추미애 / 국회 법제사법위원장
"범행을 저지른 쪽에 등사를 어떻게 허용합니까? 피해자가 다 노출이 되게끔. 2차 가해잖아요. 이게."
이원범 / 대전고등법원장
"다시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한편, 대전지법 홍성지원에서
AI가 생성한 가짜 판례가 인용된 사건도
국감에서 처음 알려졌습니다.
법원의 신뢰를 지키기 위해서는
AI 증거 식별 시스템 등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송석준 / 국민의힘 의원
"조작을 잘하는 사람은 이익을 취하고 조작을 당한 사람들은 억울하게 당하는 일이 생길 수 있는데 지금 이게 심각한 문제 아니겠습니까?"
김용덕 / 대전지방법원장
"법원 전체적으로 가이드라인이라든지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고 검토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성폭력 피해자 2차 가해부터 가짜 판례
인용까지, 법원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놓고
여야 모두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MBC뉴스 김성국입니다.
(영상취재: 황인석)
◀ END ▶
- # 대전고법
- # 국정감사
- # 정명석
- # 가짜판례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