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정부 전산망 마비 사태를 불러온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를 수사 중인
경찰이 국정자원과 관련 업체 등 4곳을
어제 압수수색했습니다.
국정자원 관리자와 작업자 등 4명을
업무상 실화 혐의로 입건한 지 하루 만인데요.
화재 당시 배터리를 충분히 방전하지 않은 채
작업이 진행된 사실이 드러나
책임 소재를 가를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혜현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압수물품 상자를 든 경찰들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건물 앞으로 나옵니다.
대전경찰청 수사전담팀이
국정자원과 배터리 이전 작업에 참여한
관련 업체 등 모두 4곳을 압수수색했습니다.
국정자원에서만 약 7시간 동안 진행된
압수수색을 통해 경찰은 사업 계획서를 비롯해
작업 관련 서류를 확보했다고 밝혔습니다.
김용일/대전경찰청 형사과장
"사업 계획서, 배터리 로그 기록 등 다수의 자료를 확보하였으며, 압수물 분석, 관계자 조사 등을 통해 화재 원인과 사건 경위를 명확히 규명하겠습니다."
불이 난 전산실 작업을 관리했던
국정자원 관계자 1명과 업체 작업자 2명,
감리업체 관계자 1명 등 4명을
업무상 실화 혐의로 입건한 지 하루 만입니다.
경찰은 확보한 압수물 분석과
관계자 추가 조사 등을 통해
화재 원인 등을 규명할 계획입니다.
배터리가 충분히 방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전 작업이 진행된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배터리를 분리하거나 옮길 때
충전율을 30% 이하로 낮춰야 한다는
국내 배터리 제조사 규정에도
충전율이 80%에 달한 상태였다는 겁니다.
이재용/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 (그제, 국회 행안위 질의)
"배터리 SOC(충전율)는 80% 정도 됐었다고‥"
경찰 조사에서도 전산실의 주전원이 화재 발생
한 시간여 전에 차단된 사실은 확인됐지만,
전류가 남아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됐습니다.
또, 배터리 분리 작업 시 전동드릴 사용이
금지돼 있고, 절연 장비를 써야 하지만
이 부분이 지켜지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고동진/국민의힘 의원 (그제, 국회 행안위 질의)
"이런 절연 장비 쓴 거는 혹시 확인을 했어요? (중략)"
이재용/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 (그제, 국회 행안위 질의)
"도구에 대해서는 보고를 받지 못했고요."
경찰은 현장에서 확보한 전동드릴을
국과수로 보내 감식을 의뢰한 상태입니다.
한편, 추석 연휴를 앞두고 정부는
장애를 복구하고 수습하는 데 차질이 없도록
24시간 대응 체계를 가동할 계획입니다.
MBC 뉴스 이혜현입니다.
(영상취재: 김준영, 양철규, 황인석)
◀ END ▶
- # 국가정보자원관리원
 - # 국정자원
 - # 압수수색
 - # 화재
 - # 배터리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