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국가 전산망을 마비시킨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경찰이 수사전담팀을 꾸린 지 나흘 만에
현장 책임자와 작업자 등 4명을
업무상 실화 혐의로 입건했습니다.
원인 규명을 위한 수사가 속도를 내는 가운데
정치권에서는 여야가 여전히
'네 탓' 공방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혜현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지난달 26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네 차례 합동감식을 벌인 경찰은
국정자원 관리자와 작업자 등 4명을
'업무상 실화' 혐의로 입건했습니다.
배터리 이전 작업 현장을 관리하는
국정자원 관계자 1명과
부상자를 포함한 외부업체 소속 작업자 2명,
감리업체 관계자 1명이 포함됐습니다.
경찰은 확보한 진술과 자료를 토대로
이들에게 화재에 책임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또, 수사 상황에 따라 입건자는
더 늘어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김용일/대전경찰청 형사과장
"현재까지 현장 책임자 등 4명을 입건해서 수사 중이고요. 앞으로는 화재의 원인 규명과 추가 조사가 필요한 대상자들에 대해서 계속 수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불이 난 5층 전산실에 있던 배터리 가운데
발화 가능성이 있는 6개는 국과수로 보내
정밀 감정을 의뢰한 상태입니다.
내부 CCTV 25대도 확보했지만,
발화 순간이 직접 담긴 건 아니어서
화재 원인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전원 차단 절차가 제대로 이뤄졌는지,
또 전동 드릴이 배터리 화재에 영향을 미쳤는지 등이
화재 원인을 밝히는 데 쟁점이 될 전망입니다."
화재 당시 배터리로 이어지는 주 전원은
차단된 것으로 경찰 조사에서 확인됐지만,
잔류 전기가 남아 있었는지는
감식 결과를 지켜봐야 합니다.
현장에서 발견된 전동 드릴 역시
실제 사용 여부가 아직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한편, 정치권도 책임 소재를 두고
공방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현안질의에서는
여야가 관리 부실과 대응을 놓고
엇갈린 목소리를 냈습니다.
국민의힘은 장동혁 대표가 현장을 찾아
정부와 수사당국을 향해
조속한 규명을 촉구하기도 했습니다.
장동혁/국민의힘 대표
"작업 중에 어떤 부주의로 발화가 됐는지를 밝히지 못하는데 배터리를 갖다가 어떻게 화재 원인을 밝힌다는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경찰은 추가 조사와 감식을 이어가며
작업 매뉴얼 준수 여부와 안전관리 책임까지
규명할 방침입니다.
MBC뉴스 이혜현입니다.
(영상취재: 장우창)
◀ END ▶
- # 국가정보자원관리원
- # 국정자원
- # 입건
- # 업무상실화
- # 전산실
- # 화재
- # 대전경찰청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