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MBC

검색

규제 풀어도 텅 빈 터미널...정부 대책도 '속수무책'/투데이

윤소영 기자 입력 2025-10-01 08:22:53 수정 2025-10-01 08:22:53 조회수 4

◀ 앵 커 ▶

지방 인구가 줄면서, 

최근 몇 년 사이 전국에서 40곳 가까운 

버스터미널이 문을 닫았습니다.


주민들의 이동권을 위해 

정부는 경영난에 빠진 터미널이

다양한 수익 시설을 유치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했는데요.


하지만 기존 상권조차 지키기 힘든 현실에서,

이 정책이 실효성을 거둘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윤소영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지난 40여 년 동안 중부권 교통의 거점 

역할을 해온 대전복합터미널.


영화관과 대형서점, 전시관에

140여 개 상점까지 들어선 복합 문화 공간으로,

시민들에게는 교통 시설 그 이상의 의미입니다.


김동연/대전시 홍도동

"굳이 버스 타러 오는 건 아니더라도 여기에 이마트도 있고, 맥도날드도 있고, 주변 상권들이 좀 많아서.."


하지만 터미널의 속 사정은 다릅니다.


코로나19 이후 승객이 줄어

부산·경북 등 20개 노선이 사라지면서 

전체 수입도 30% 이상 감소했습니다.


정부가 이런 터미널의 경영난을 덜기 위해 

올해부터 시설 규제를 완화했습니다.


기존에는 음식점과 카페 등 일부 업종만 

입점할 수 있었지만, 앞으로는 택배센터와 

체육시설, 데이터센터 등 다양한 편익시설을 

터미널에 유치할 수 있도록 한 겁니다.


이에 대전복합터미널은 지하 1층 500㎡ 창고를 

스크린골프장으로 바꿔, 

내년 초 개장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강봉규/대전고속버스터미널 대표이사

"매표 위탁 수수료가 차지하고 있는 비율이 옛날에는 한 70~80%였다고 하면 지금은 오히려 50% 밑으로 떨어져 있고, 나머지 임대 수입이 그만큼 더.."


하지만, 도시 지역을 제외한 농어촌 지역의

영세 터미널들은 편익시설 유치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갈수록 줄어드는 인구와 낡은 건물 탓에

새로 들어오려는 사업장은 찾아보기 힘듭니다.


"금산시외고속버스터미널 2층 상가입니다.

사무실 10곳 가운데 7곳이 10년 넘게 

공실 상태로 남아 있습니다."


그나마 1층에 남아 있는 상점들조차

매출 부진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박영숙/금산터미널 입점 상인

"(승객이) 계속 주는데 계속 계속 내려가지, IMF는 뭐, 그때는 아주 잘 됐다고 봐야 해. 지금은 어려워."


업계 측은 농어촌 지역 영세 터미널을 

살리기 위해서는 재산세 감면 같은 

세제 혜택은 물론, 

점진적인 공영화를 위한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고 요구합니다.


김정훈/전국여객터미널협회 사무국장

"공항, 철도, 항만 그다음에 물류터미널 같은 경우는 재산세 감면 대상에 포함되어 있는데, 여객터미널만 여기에 빠져있고요. 터미널에 대해서 국고 지원이 하나도 없습니다."


경영난에 허덕이며 당장 존폐 위기에 놓인 

전국의 버스터미널은 

전체의 절반 이상인 144곳.


주민들의 이동권과 직결된 만큼, 

터미널의 위기를 극복할 

현실적인 해법을 모색할 때입니다.


MBC 뉴스 윤소영입니다.

◀ END ▶

  • # 버스터미널
  • # 정부
  • # 편익시설
  • # 규제
  • # 완화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