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국가 전산망의 심장부인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에 대한
본격적인 원인 규명이 시작됐습니다.
복구 작업도 본격화하면서 네트워크와
보안장비는 정상화했지만 우체국 우편과
조달 시스템 등은 복구까지 시간이
더 걸릴 전망입니다.
문은선 기자입니다.
◀ 리포트 ▶
국가 행정망 마비 사태를 부른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소방차와 경찰차가 오가고
감식반이 그을린 흔적이 뚜렷한
전산실 건물 안으로 들어갑니다.
어제 오전부터 소방과 경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 합동감식반이
현장에서 본격적인 화재 원인 규명에 나섰습니다.
발화 지점으로 지목된
배터리 교체 구역을 중심으로
불꽃이 튀었다는 작업자 진술 등을 토대로
원인을 살피고 있습니다.
강재석/대전경찰청 과학수사계장
"정확한 화재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서 시설 내부에 대한 광범위한 합동 감식을 실시하겠습니다."
화재로 전소돼 반출된 리튬이온 배터리 384개는
이틀 정도 수조에 뒀다 추가 발화 가능성이
사라지면 국과수로 옮겨 정밀 감식할 예정입니다.
경찰은 또 전담 수사팀을 꾸려 안전 조치 등에
문제가 없었는지 등을 밝힐 예정입니다.
복구 작업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현재 항온·항습 시스템은 복구해
서버를 운영할 수 있는 환경을 되찾았고
네트워크 장비는 절반 이상,
보안 장비 대부분도 복구했습니다.
다만 실제 업무를 처리하는 핵심 서버인
전산 장비 740대가 불에 타면서
우체국 우편 등 90여 개의 주요 시스템은
복구까지 시간이 더 걸릴 전망입니다.
김광용/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2차장
"오늘 중으로 647개 서비스 중 551개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재가동하여 서비스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모바일 신분증도 신규나 재발급을 제외한
기존 발급분은 단말기 표출이나 온라인 제출
기능을 정상화했습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그제 화재 현장을 찾아
시스템 정상화 시점 등을
명확히 하지 못하는데 대해 사과했습니다.
한편 여야 정치권은 이번 사태의 책임을 두고
'네 탓' 공방을 벌였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정부가 정보 시스템
이중화 조치를 하지 않았다고,
국민의힘은 현 정부의 위기 대응 능력 부실을
문제 삼으며 이재명 대통령의 사과를
촉구했습니다.
MBC뉴스 문은선입니다.
(영상취재: 김준영)
◀ END ▶
- # 국가정보자원관리원
- # 국정자원
- # 배터리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