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MBC

검색

민간아파트보다 비싸?...원주민 내모는 주거 환경 개선/투데이

이혜현 기자 입력 2025-09-17 08:51:23 수정 2025-09-17 08:51:23 조회수 5

◀ 앵 커 ▶

낡은 집을 헐고 새 주택을 지어

주민에게 더 나은 보금자리를

제공하는 주거환경개선사업이,

지역 곳곳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저소득층의 주거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건데, 정작

원주민에게는, 새 주택에 들어가기

위한 문턱이 유독 높다고 하는데요.

이혜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450가구가 모여 살던

대전시 대동과 용전동 일대.

낡은 주택이 많고, 마을의 기반 시설이 부족해

대전시의 주거환경개선사업 대상지로

지정됐습니다.

"지난해, 노후 주택이 철거된 자리에는 분양을 앞두고 새 아파트 공사가 진행 중입니다."

1~2억 원 안팎의 보상금을 받고

평생 살던 보금자리를 내준 주민들.

전셋집으로 뿔뿔이 흩어진 주민들을

힘겹지만 버티게 한 건 새 아파트로

돌아갈 수 있다는 희망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달 초 발표된 분양가는

기대를 한순간에 무너뜨렸습니다.

84㎡ 기준 분양가는

3.3㎡당 1천5백만 원대로 5억 원을

훌쩍 넘습니다.

가까운 민간 재개발 아파트보다도 비쌉니다.

보통 선택 사항인 발코니 확장도 의무입니다.

손에 쥔 돈은 별로 없지만 5억짜리 아파트

계약 여부를 일주일 안에 결정해야 합니다.

계약을 결정한다해도 한 달 안에 수천만 원의

계약금을 마련할 길이 없습니다.

변경자 / 대전 대동2구역 원주민

"지금 남의 집에 세 산단 말이야. 그런데도 지금 (LH) 여기서는 아랑곳없이 자기네들 받을 것 다 내놓으래. 모든 게 다 돈인데 우리가 여기를 어떻게 들어가냐고, 들어갈 수가 없지."

LH는 이에 대해 건설 원가가 올라

분양가를 높일 수밖에 없었다며

견본주택을 설치하지 않는 등

분양가를 낮추려 노력했다고 해명했습니다.

실제로 서울연구원 조사 결과,

막대한 추가 부담 때문에

원주민들이 다시 정착하는 비율은

30% 안팎에 불과합니다.

때문에 일부 자자체에선

원주민이 원하는 소형 평형을 다양화해

부담을 줄이고 재정착을 돕고 있습니다.

임재만 / 세종대 부동산학과 교수

"새로운 주택의 가격을 공공과 원주민이

공동으로 부담하고 계속 거주하게 하다가

나중에 이 주택을 매각할 때 거기서 이익이

발생하면 그걸 나누는 방법으로⋯"

주민들은 LH에 분양가를 낮추고,

분양 일정을 미룰 것을 요구하며,

집회를 이어갈 방침입니다.

MBC뉴스 이혜현입니다.

(영상취재: 양철규, 그래픽: 조규빈)

◀ END ▶

  • # 주거환경개선사업
  • # 대동2구역
  • # 원주민
  • # 주택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이혜현 do99@tjmbc.co.kr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