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플라스틱을 재활용하려면, 뚜껑을
제거하고 붙어있는 라벨을
떼어 내는 등, 번거로움이 많았는데요.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단 한 번의 공정으로 폐플라스틱을
다시 플라스틱 원료로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박선진 기자입니다.
◀ 리포트 ▶
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해 꼼꼼하게
분리배출을 한다 해도 라벨을 떼어내고
남은 접착제 등 불순물은 남습니다.
결국 폐플라스틱을 녹이면 100여 가지의
화학물질이 혼합돼 있어 산업용 보일러에
쓰거나 저품질의 우레탄을 만드는 것 등에
그칠 수밖에 없습니다.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해 다시 가치가 높은
플라스틱 원료로 만드는 비율은
단 1%에도 미치지 못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화학적 재활용'의 비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습니다.
세계 최초로 100% 수소만 이용하는
'고온 플라스마 토치'를 개발한 건데,
이 토치로 혼합 폐플라스틱에
최대 2천 도를 0.01초간 가하면
폐플라스틱을 분해해 플라스틱의 원료인
에틸렌과 벤젠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이대훈 / 한국기계연구원 책임연구원
"플라스틱을 한 번에, 단 한 번의 전환을 해서 쓸 수 있는 물건으로 만들어냈다는, 다시
플라스틱의 원료로 돌려서 물질로 재활용을
하기 때문에‥"
전기에너지를 활용하기 때문에
기존에 폐플라스틱을 소각하는 과정에서
배출하던 이산화탄소도 줄일 수 있습니다.
기초 연구를 통해 경제성을 입증한 연구진은
상용화를 위한 검증 단계에 돌입할 계획입니다.
송영훈 / 한국기계연구원 폐유기물기초원료화사업단장
"얼마나 장기적으로 안전하게 운영될 건가가
남아 있는데 이거는 이제 올가을 이후에
여수에 있는 실증 장소로 옮겨가서 검증이 되면 이제 기업에 이전하고…"
한편 산업체마다 항공유 제작 등
기술을 통해 원하는 결과물이 다를 수 있어,
그에 맞춘 세부 온도 설정 등 공정 조정이
남은 과제로 꼽힙니다.
MBC 뉴스 박선진입니다.
◀ END ▶
- # 한국기계연구원
- # 플라스틱
- # 재활용
- # 플라스마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