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지난여름 물난리를 겪었던
당진의 한 가정집에 한 달 치 전기요금으로
230만 원이 나왔습니다.
80대 노인이 홀로 사는 집이었는데,
말 그대로 요금 폭탄을 맞은 겁니다.
알고 보니 폭우에 따른 누전이 원인이었지만
한전도, 당진시도 대책이 없다는 입장입니다.
어찌 된 일인지 이혜현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 리포트 ▶
80대 노인이 홀로 살고 있는 당진의 한 주택.
지난달 나온 전기요금 고지서를 보고
두 눈을 의심했습니다.
무려 230만 원, 사용량은
3천500kWh에 달합니다.
에어컨 이용이 많은 여름에도 전력 사용량이
300kWh 수준이었는데 10배나 급증한 겁니다.
심지어 지난 2018년부터는
태양광 발전 시설로 모든 전력을 충당해
한 번도 요금을 낸 적이 없었습니다.
이승규/피해 어머니 가족
"한 달간은 그냥 모르고 3,500kWh를 쓴 걸로 나와서, 그냥 맑은 하늘에 날벼락 맞았죠."
문제를 제기하자 한국전력 측은 계량기 고장이
아니라 누전 때문이라고 답변했습니다.
지난 7월 당진에 극한 호우가 쏟아진 날
주택 지하 펌프실 설비가 물에 잠기면서
전기가 땅속으로 계속 흘러 나간 겁니다.
"당시 시간당 100mm가 넘는 폭우가 쏟아지면서
빗물이 넘쳐 이곳까지 흘러들었습니다."
누전차단기마저 고장 나 전혀 몰랐던 집주인은
한 달 뒤 고지서를 받고 나서야
'요금 폭탄'을 확인했습니다.
이승규/피해 어머니 가족
""왜 이렇게 많이 전기를 많이 썼지"하면서 경보가 울린다든가 하면 검침원이 직접 와서 확인한다든가 그래서 소비자한테 알려주고‥"
한전은 이상 사용량을 미리 감지해
알리는 기술을 개발 중이라면서도,
이번 누전은 '고객 설비'로 인한 문제라서
요금을 감면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자연재해가 없었다면
내지 않았을 요금을 오롯이 피해자가
떠안는 것은 불합리하다는 지적입니다.
이은희/인하대 소비자학과 명예교수
"국가의 치수 책임이 완벽하게 시행되고 있지 못하다라고 얘기할 수도 있기 때문에, 그거에 대해서는 (국가가) 책임을 느껴야 되는 거 아닌가."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당진의 수해민들은
전기요금 감면 지원을 받을 수 있지만,
당진시도 "이번 누전 피해는
직접적인 수해로 보기는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MBC 뉴스 이혜현입니다.
(영상취재: 양철규, 그래픽: 김진선)
◀ END ▶
- # 전기요금
- # 폭우
- # 한국전력공사
- # 당진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