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광복은 연합국의 선물'이라는
광복절 기념사부터 독립기념관 사유화
의혹까지.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을 둘러싼 각종 논란에
퇴진 요구가 갈수록 거세지고 있는데요.
독립운동가 후손들이 급기야 천막 농성에
들어갔지만, 충남도의회는 김 관장 감싸기에
급급했습니다.
이혜현 기자입니다.
◀ 리포트 ▶
김형석 관장에 대한 퇴진 요구 농성이
시작된 지 2주째를 맞은 독립기념관장실 앞.
고령의 독립운동가 후손들은 출입문 앞을
막고 있고,벽에는 '김형석 퇴진'이 적힌 팻말이
줄지어 세워져 있습니다.
후손들과 관련 단체들은 건물 밖에 천막을 치고
밤샘 농성에 나서는 등 압박 수위를 높였습니다.
이용길/전국비상시국회의 상임공동대표
"독립운동단체 회원들이 독립기념관을 점거한 것은 친일 부역자들이 점거했었던 독립기념관을 되찾고 회복시킨 것입니다."
이들은 "김 관장을 임명했던 국가보훈부와
광복회도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며
즉각 해임 절차에 돌입하라고 촉구했습니다.
황선건/6·10만세운동 유족회장
"이 상황에서도 침묵하고 있다는 것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것이죠. 국가보훈부 장관 권오을 씨, 광복회장 이종찬 씨에게 이 책임을 물으려 하고 있습니다."
후손들은 또 지난달 22일 농성을 하다
김 관장 측 경비 인력에게 폭행을 당했다며
경찰에 고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광복절 기념사부터 독립기념관 사유화 논란,
폭행 의혹까지 불거진 김 관장의 퇴진을
요구하는 국회 국민청원에는 9천 명이
동의했습니다.
후손들은 이번 투쟁이 단순히 권력 다툼이
아니라, 국민으로서 역사의 정당성을
지키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합니다.
이해석/이재만 독립지사 후손
"옛날에 독립투쟁하셨던 선대들 생각하면 (농성이) 어려운 거 아니죠. 할아버지 뵐 때 당당하게 봬야 할 거 아니에요."
김형석 관장이 사실상 버티기에 돌입한 가운데,
충남도의회에 상정된 '김 관장 파면
촉구 건의안'은 다수인 국민의힘 반대로
부결되면서 김 관장 퇴진을 둘러싼 갈등은 더욱 커질 전망입니다.
MBC뉴스 이혜현입니다.
(영상취재: 신규호)
◀ END ▶
- # 독립기념관장
- # 김형석
- # 독립운동가
- # 후손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