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지역 이슈의 참과 거짓을 가려보는
팩트체크 기획 '뉴스참' 순섭니다.
이번엔 30년 넘게 논란 중인 청양 지천댐
문제를 이틀에 걸쳐 들여다보겠습니다.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댐 건설 정책
전반을 재검토하겠다고 밝히자, 댐을 짓자는
충남도와 갈등이 불붙고 있습니다.
김광연 기자가 집중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지난 7월 중순, 나흘 동안 400mm의
폭우가 쏟아진 청양군.
산사태가 발생해 흙더미가 주택을 덮쳤고
주민 2명이 매몰됐다 가까스로 구조됐습니다.
청양을 관통하는 지천 역시 범람해
주변 도로까지 물이 차올랐고,
천변 주민들은 농사를 망치는 것은 물론
위험천만한 순간까지 겪어야 했습니다.
전옥자 / 피해 주민
"이거(농기계) 건지다가 내가 떠내려 가겠다 그러고서 이 뒤로 막 이렇게 올라온 거예요. 해마다 이게 언제 홍수가 날지 모르니까 이런 위협을 항상 느끼면서..."
반복되는 수해 속에서 환경부는 지난해 7월,
홍수와 가뭄을 막겠다며 '기후대응댐'을
건설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가운데, 지난 1991년과 1999년, 2012년
주민들의 반대로 세 차례나 무산됐던
지천댐이 후보지안으로 포함됐습니다.
충남도는 환영의 뜻을 밝히며,
적극적인 추진 의지를 드러냈습니다.
김태흠 / 충남지사(지난 3월 6일)
"지천(댐)은 지형적인 여건과 풍부한 수량으로 충남에서는 물을 담수할 수 있는 최적지이고 충남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할 유일한 대안입니다."
하지만 새 정부가 출범하자
기후대응댐에 대한 기조가 달라졌습니다.
이재명 정부는 "홍수와 가뭄 대비 효과가
없고 지역민이 반대하는 곳에 대해서는
신규 댐을 설치하지 않겠다"고 공약한 겁니다.
그럼에도 김 지사는 AI 시대에
물 사용량이 늘어날 거라며
지천댐 건설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정권이 바뀌자 댐 건설에 대한
입장 표명을 미루고 있다"며 김돈곤
청양군수를 비판했습니다.
이에 김군수도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김돈곤 / 청양군수(지난달 14일)
"예산을 볼모로 청양군민을 무시하고 겁박하는 것으로 밖에 볼 수 없어 군민들과 함께 분노와 허탈감을 갖지 않을 수 없습니다."
부여군 역시 충남도의 태도를 비판하며
관 대 관 갈등으로까지 번진 가운데,
청양군민들 사이에서도 지천댐 건설을 두고
찬반 여론이 팽팽히 맞서고 있습니다.
이성우 / 지천댐 건설 찬성위원회 대표
"AI 첨단 산업이라든가 반도체 산업이라든가 이런 걸 청양 50만 평, 부여 50만 평 댐을 막아서, 산업단지를 꼭 지천댐 발표와 동시에 그것도 발표해 주시면 청양, 부여는 살아납니다."
김명숙 / 지천댐 반대대책위 공동위원장
"10년 동안 댐 공사하고 5년 동안 (개발) 해서 그 뒤에 어떤 관광 시설에서 누가 돈을 벌 수 있을까요? 지역은 이미 다 피폐해졌는데. 자연 생태 환경을 살려서 주민들이 경제활동할 수 있는, 더 빨리 발전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홍수 예방과 가뭄 해소는 물론, 물 자원을
활용한 산업단지 유치와 관광 개발까지,
댐을 놓고 기대와 우려가 복잡하게 얽힌 상황.
다만 '기후대응댐'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실제로 기후 재난에 대응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면밀한 검증이 필요합니다.
MBC뉴스 김광연입니다.
(영상취재: 신규호)
◀ END ▶
- # 지천댐
- # 청양
- # 부여
- # 충남도
- # 기후대응댐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