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MBC

검색

위기의 석유화학 지역 경제도 '흔들'/투데이

최기웅 기자 입력 2025-08-27 08:42:44 수정 2025-08-27 08:42:44 조회수 0

            ◀ 앵 커 ▶

세계적인 수요 부진과 중국발

공급 과잉 등의 악재로

서산의 석유화학 업체들이

경영난을 겪고 있고, 이로 인해

지역 경제에도 파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정부가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한

업계의 구조조정을 유도하고

나선 가운데, 산업위기 선제대응

지역 지정 여부에도

촉각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최기웅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산 대산석유화학단지에는

석유화학 분야 대기업을 포함해 30여개의

연관 기업들이 밀집해 있습니다.

지난해 기준 대산산단 주요 4개 기업은

7천억 대의 적자를 기록하고 설비 투자가

3년 만에 77% 축소되는 등 경영난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종현 / 대산공단협의회 상임이사

"석유화학 산업의 침체로 계획되었던 추가

(투자) 계획들이 보류되고 가동률이 급감하니까 연계 산업이 위축돼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전국 2위의 석유화학 생산능력을 갖춘 대산

산단이 산업 위기로 연쇄적인 위기로 내몰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서산시의 경제 기반을 떠받치고 있는

대산의 위기는 지역 경제에도 악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대산산단이 서산시에 납부하는 법인

지방소득세의 경우 2022년 기준 4백억 대

규모였지만 해마다 감소해 지난해엔 0원에

그쳤습니다.

조충희 /서산시 세정과장

"올해 기준으로 해서 시세 규모가 1천800억 정도 되거든요. 그중에서 4백억 정도가 감소했다고 보니까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석유화학 업계에 대해 사업 재편을

포함한 강도높은 구조조정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나선 가운데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추가

지정 여부도 관심입니다.

지난 7월 충남도는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신청서를 제출했으며 이달초 민간합동

실사단의 현장 점검이 이뤄졌습니다.

이완섭 / 서산시장

"정부의 긴요한 선제대응지역 지정 노력이 필요하고 재정 지원이라든가 금융 세제 지원이 꼭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씀드리겠습니다."

업계에서는 산업위기 선제대응 지역 지정과

함께 전기·공업용수 공급단가 인하 등의

긴급 대책도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은

산업위기대응심의위원회를 거쳐 늦어도

다음 달 초안에 결과가 나올 전망입니다.

MBC NEWS 최기웅입니다. 

  • # 서산
  • # 대산
  • # 석유화학단지
  • # 산업위기
  • # 선제대응지역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최기웅 kiwoong@tjmbc.co.kr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