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폭염은 물론 극한 호우까지.
어느 해보다 기후 위기가
현실로 다가왔던 여름인데요.
모내기 후 100일이면 수확할 수
있는 충남의 벼 '빠르미'의
벼베기가, 벌써 시작됐습니다.
특히, 농업용수와 메탄 발생량을
크게 줄여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품종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최기웅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한낮 폭염이 여전히 뜨거운 농촌 들녘.
한창 자라야 할 푸릇푸릇한 벼와 비교해
제법 황금색으로 변한 논이 눈에 띕니다.
충남도 농업기술원이 개발한 초조생종 벼인
'빠르미향'으로,
모내기를 한 지 100일 만에 첫 수확입니다.
폭염과 수해를 이겨내고 잘 자란 벼를 보며
농부는 그간 마음고생을 조금이나마
덜어냅니다.
이상훈 / 당진시 송악읍 반촌리
"작년보다는 수확이 좀 많이 나와서 괜찮을 것 같아요. 수확이 잘 나오네요. 올해는"
빠르미향은 이른바 2세대 빠르미로
찰기와 부드러움이 적절하게 어우러지는 데다 구수한 누룽지 향이 특징입니다.
특히, 물을 가두는 기간이 짧아
일반 벼보다 농업용수 사용량을 60% 가까이,
메탄 발생량도 40% 가까이 줄일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 대응에 적합한 품종으로
주목받는 이유입니다.
박승석 / 당진해나루쌀조합 법인 대표
"탄소 감소 효과가 있기 때문에 아마 앞으로 우리 재배 농가들이 많이 늘어나서//내년에 3백ha 정도로 많이 늘리도록 하겠습니다."
충남도 농업기술원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스스로 이륙해 새들을 쫓고 귀환하는
드론 스테이션을 활용한 조류 퇴치 기술도
선보였습니다.
윤여태 / 충남도 농업기술원 쌀연구팀장
"드론 스테이션이 커버할 수 있는 부분이 5~10km 반경까지 커버할 수 있어 (논·밭)대단지를 커버할 수 있습니다."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 중립 실천이
중요해지는 가운데 농업 분야에서의
기술 혁신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MBC NEWS 최기웅입니다.
- # 폭염
- # 벼베기
- # 빠르미
- # 초조생용
- # 기후변화
- # 충남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