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팩트체크 기획 <뉴스참>, 어제에 이어
대전의 일자리 허와 실을 살펴봅니다.
취업을 위해 대전을 떠나는 청년들을
머무르게 하려면 청년들의 눈높이에 맞는
좋은 일자리가 있어야 하는데요.
대전시도 이 부분에 집중해
일자리 정책을 펴겠다고 약속했는데,
과연 청년들은 어떻게 느끼고 있을까요?
이혜현 기자가 따져봤습니다.
◀ 리포트 ▶
취업 앞에서 청년들의 고민이 깊습니다.
평생을 지내온 지역에 남고 싶어도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운 현실에
눈길이 서울로 향할 수밖에 없습니다.
손민영/ 대전 구직 청년
"자기 전공을 못 살리는 상황인 터라. 친구들도 많이 취업을 못하는 상태여서 일자리가 그렇게 많지는 않아요. 그래서 다른 지역으로 많이 가는 추세여서."
대전 구직 청년
"여러 가지 일이 있는데 생산직의 업무 하나로만 제한적이게 두지 않나."
지역을 떠나는 청년들의 선택을
대전시도 모르지는 않습니다.
이장우/ 대전시장 (지난 6월)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고 그럴 때만 수도권 과밀 집중도를 충청도 이남으로 당길 수 있다."
대전시가 말하는 '양질의 일자리'는 무엇일까?
올해 대전시가 밝힌 일자리 창출
목표는 5만 5천여 개.
40% 남짓인 2만 4천 개는 65살 이상 고령층에게
월 29만 원을 지급하는 단기 노인일자리입니다.
청년 일자리 목표 9천여 개 가운데 절반은
저소득 청년에게 저축 장려금을 주거나
월세를 지원하는 겁니다.
일자리 하면 떠오르는 '고용'이나 '취업' 대신
경제적 기반을 지원하는,
어찌 보면 '복지'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취업 취약계층을 돕고
청년층의 장기적인 지역 정착을 위해
필요하지 않다는 건 아닙니다.
김유빈/ 한국노동연구원 연구본부장
"이런 전반적인 생활에 있어서의 인프라가 구축이 돼야지 그 지역에서 더 오래 정착해서 일자리를 유지할 수가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구직 시장은 냉혹합니다.
일자리를 찾지 못해 '쉬었음'으로 분류된
청년 인구는 최근 3년간 꾸준히 증가했습니다.
강신철/ 유클리드소프트 경영전문위원
"공공 일자리 제공하지 말라 뭐 상담 교육 이런 거 하지 말라 그게 아니라 그런 건 하되 마치 일자리 정책인 것처럼 포장하지 말라는 거죠. 복지 예산이 일자리 정책 예산인 것처럼 포장하는 건 아니다."
일자리 미스매칭, 불균형도 심각합니다.
대전에서 2만여 명이 경영과 행정 분야의
사무직을 희망하지만, 신규 일자리 중
3분의 1은 보건이나 사회복지 성격의
서비스업과 임대업, 제조업 등에 집중됐습니다.
기업이 오지 않는 현실도 더해져
신규 채용은 그야말로 ‘가뭄’ 수준입니다.
대전시는 최근 5년간 지방에 투자한 기업에
투자금을 지원하는 '지방투자촉진보조금'을
단 4곳에 31억 원을 지급했습니다.
같은 기간 세종시가 11개 기업에 188억 원,
충남도 역시 43개 기업에
1천2백억 원 넘게 지원한 것과 대조됩니다.
대전시 모 대학교 4학년
"기업이 성장하는 환경 자체가 좀 미흡하지 않나. 그렇기 때문에 채용하려는 기업 자체가 적은 것 같아요."
대전시는 산업 단지를 분양하는 등
청년이 원하는 일자리를 만들 수 있는
기업을 유치하고 있지만
장기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복지사업을 일자리 성과로 둔갑시키는
방식으로는 청년의 정착도, 지역의 성장도
어렵습니다.
양질의 일자리를 공급하겠다는 대전시의 약속은
절반만 사실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MBC 뉴스 이혜현입니다."
- # 팩트체크
- # 뉴스참
- # 일자리
- # 대전시
- # 이장우
- # 고용
- # 복지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