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기후 위기 속 '폭염 불평등'
실태를 짚어보는 기획 보도,
마지막 순서입니다.
도심의 폭염 격차.
폭염에 무방비인 농어촌을 통해,
이제 폭염이 자연재난을 넘어서
'불평등한 사회 재난'이 되고 있는
현실을 전해드렸는데요.
이제는, 정밀한 기온 관측 등을
통한 맞춤형 폭염 안전망이
절실합니다. 김성국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최근 5년 동안 충남에서 온열질환으로
숨진 사망자는 16명.
전국 지자체 중 가장 많은데, 이들 가운데
절반이 논과 밭 등 야외 작업을 하다
목숨을 잃었습니다.
충남도는 폭염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 50억 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했지만,
정작 농어촌 주민들은 체감하지 못합니다.
일부 지자체는 단가가 비싸다는 이유로
냉각 조끼 등 실효성 있는 물품은 제외한 채,
양산이나 여름 이불 등 논밭일에 활용하기
어려운 물건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아예 농어촌 주민에게 폭염 대응 물품을
한 차례도 지급하지 않은 지자체도 있었습니다.
충남 지자체 관계자
"농업인 분들한테 따로 나가는 건 없고,
저희가 폭염 예찰 활동 이런 거 나갈 때 얼음물 배부해 드리는 건.."
어촌 상황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늘막 하나 없는 갯벌 주변에는
에어컨이 설치된 쉼터가 있지만,
오가는 게 불편해
정작 어민들은 이용하기 어렵습니다.
지역과 산업, 나이 등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물품 지원부터 폭염 예방 교육까지
더욱 정교한 대책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이현 / 목원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온도 차이라든가 거기서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구체적인 지침들이 필요할 것 같은데, (고령층에게) 반복적이고 쉬운 언어로서 그들한테
다가가는 교육들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대책을 세우기에 앞서 정밀한 관측부터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지난해 여름, 대전 안에서도 서구와
대덕구는 기온이 33도 이상일 경우에 해당하는 폭염 일수가 10일 이상 차이 났습니다.
최근 일주일 기준으로도 대전 서구가
대덕구보다 평균 최고기온이 1.4도 높았습니다.
왜 이런 차이가 나는지 관측소를 찾아가
확인해 봤습니다.
서구 관측소는 건물 옥상에 설치돼 있어
햇빛을 가릴 나무나 건물이 없어 기온이
그대로 감지됩니다.
20km 떨어진 대덕구 관측소로 이동했습니다.
"이곳 대덕구 관측소는 산으로 둘러 싸여있고, 장비 주변에는 이렇게 나무가 심어져 있어
도심보다 비교적 기온이 낮게 측정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관측 장비의 위치와 주변 환경이
모두 제각각이라 기온차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관측값의 대표성이 떨어집니다.
또 기상청 관측 장비를 제외하고
서울시는 관내 천백 곳에 복합 센서를
설치해 기온 등을 수집하고 있지만,
대전과 세종, 충남은 77개 남짓뿐입니다.
박진영 / 기상청 예보분석관
"고정식 관측망으로는 모든 국지적 기상현상을 포착하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관측장비가
더 촘촘히 구성되어 운영된다면 위험 기상을
보다 잘 감시하고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올여름 온열질환자는 벌써 2천8백여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6배가 늘어난 상황.
기후위기가 일상이 된 지금,
자연재난을 넘어
불평등한 사회재난이 되고 있는 폭염 피해가
취약 계층에 몰리지 않도록
정밀한 관측과 실효성 있는 대응책이
절실합니다.
MBC뉴스 김성국입니다.
(영상취재: 신규호, 황인석)
◀ END ▶
- # 기후위기
- # 일상
- # 관측소
- # 폭염대책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