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기후위기 속 '폭염 불평등'
실태를 짚어보는 기획보도 순서입니다.
연일 이어지는 폭염 속에,
고령층과 저소득층, 노후 주택이
밀집한 지역은, 더위에 더
취약할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이런 마을일수록, 무더위
쉼터나 폭염 저감 시설 등,
대책에서 후순위로 밀려나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요.
윤소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65살 이상 고령층 7천 명,
30년 이상 된 노후 주택 4천2백 채,
기초생활수급자 2천2백 명.
대전에서 가장 더운 동네로 분석된
중구 산성동의 통계 수치입니다.
대부분 주택이 태양열을 그대로 흡수하는
양철 지붕 구조인데, 주민 10명 중 3명꼴로
한낮에도 이동이 어려운 고령층입니다.
마을 주민
"밤에는 잠을 못 자요. 나가서 있는 게 차라리 시원하죠."
이처럼 폭염에 취약한 주민이 많은 동네일수록
오히려 폭염 대책의 사각지대가 많습니다.
대전 동구 16개 행정동 가운데
고령층이 두 번째로 많고, 기초생활수급자 수도
대전에서 상위 30% 안에 드는 효동.
무더위 쉼터가 20곳 지정돼 있지만,
5곳을 제외한 쉼터 대부분은 특정 주민만
이용 가능한 아파트 경로당 등입니다.
경로당 이용자
"아파트 주민만 오죠, 여기 올라오겠어요? 회비 내는 사람만 와요."
외부인 이용이 쉽지 않은 건 물론,
주말이나 공휴일에는 아예 문을 닫기도 합니다.
"나머지 쉼터들도 확인해 보니 잠시 뙤약볕만 피할 수 있는 야외 정자나 공원 등에 불과해
실질적인 더위 피난처로 보긴 어려웠습니다."
지자체 재정 형편이 상대적으로 좋은
신도심에서도 폭염 불평등은 나타납니다.
대전 유성구가 2억 원을 들여 내년에 선보일
냉난방 시스템과 건강측정기 등을 갖춘
스마트 쉼터.
하지만 쉼터가 설치될 전민동은 폭염 취약층인
기초생활수급자 수가 2백여 명으로 유성구 13개 행정동 가운데 두 번째로 적습니다.
30년 넘은 노후주택도 '폭염 고위험' 지역인
인근 온천2동의 고작 3% 수준에 그칩니다.
실제 폭염 취약지가 아닌 민원 건수나
유동 인구 등을 기준으로 쉼터 등이 설치돼
폭염 불평등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손승우 / 한국환경연구원 공학박사
"아파트 같은 경우에는 신식으로 건축이 되면, 조경 녹지 같은 것도 40%까지 올리면서 그게 또 하나의 브랜드화를 시키기도 합니다. 도시 차원이나 국가 차원에서 불평등, 사회적 불평등 입장으로 접근을 해야.."
폭염 대책이 무더위 쉼터나 그늘막 등 미온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비판도 나옵니다.
주거환경과 소득 수준, 연령대 분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겁니다.
배나래 / 건양사이버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어디 온도가 더 높게 올라가는지,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들은 어디에 있는지, 이러한 부분을 데이터로 만들고, (지자체가) 취약 계층 지도를 만드는 게 필요해요."
체계적인 데이터 없이 제각각 기준에 좌우되는 폭염 대책, 해마다 뜨거워지는 여름 앞에서
폭염 취약계층의 현실을 비껴가고 있습니다.
MBC 뉴스 윤소영입니다.
◀ END ▶
- # 폭염
- # 무더위쉼터
- # 기후위기
- # 불평등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