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위축된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이
오늘부터 시작됩니다.
1인당 18만 원에서 최대 53만 원이 지급되는데,
지자체마다 자금 역외 유출을 막기 위해
지역화폐 사용을 권장하고 나섰습니다.
현장 분위기를 이교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450여 개 점포가 모인 대전 도마큰시장.
비 오는 평일 오전에도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기다리는 시민들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이현자 / 대전시 변동
"(소비쿠폰 발행된다고 하는데, 어떠세요?) 안 주는 것보단 낫죠. 가족들이랑 같이 먹을 거 사고 싶죠."
코로나 때 지원금이 내수 회복에 효과가
있었던 만큼 상인들도 기대감을 감추지 않습니다.
윤영희 / 상인
"분위기 좋죠. 나라에서 돈 얼마씩 준다니까 손님들도 그때 되면 뭐 사러 온다, 뭐 사러 온다 이런 소리 많이 해요."
소득 수준에 따라 상위 10%는 18만 원,
일반 시민은 28만 원, 차상위 계층은 43만 원,
기초생활수급자는 최대 53만 원까지
지급됩니다.
신청은 신용·체크카드 등을 선택할 수 있고,
카드사 앱이나
동 행정복지센터를 통해서도 가능합니다.
사용처는 연 매출 30억 원 이하
소상공인 점포로 제한되며
백화점·온라인몰 등은 제외됩니다.
대전시 등은 시민 불편을 줄이기 위해
전담팀을 꾸리고, 안내 인력도 늘렸습니다.
권경민 / 대전시 경제국장
"지역사랑 상품권을 통해서 지급받는 방식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큽니다. 그래서 그런 방식으로 유도하려고 하고 있고… (다만) 소비쿠폰은 이미 소비를 위해 지급된 현금성 지원이기 때문에 캐시백은 없습니다."
다만 캐시백 혜택이 없고, 사용처 제한 탓에
지역사랑 상품권을 통한 경기 진작에는
의문도 남습니다.
김영구 / 상인
"3년이라는 공백기간이 (대전사랑카드가) 잊혀진 거예요. 3년을 안 했기 때문에 대전시민들이 아예 지역화폐를 쓸 생각을 안 하고…"
2차 신청은 오는 9월 22일부터 10월 말까지로,
소득 상위 10%를 제외한 모두에게
10만 원이 추가로 지급될 예정입니다.
소비쿠폰은 11월 30일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미사용 금액은 자동 소멸됩니다.
한편, 국민의힘 대전시의원 등은 “청년에게
빚지는 선심성 정책”이라며 기부를 선언했지만,
대전시는 물품 기부만 가능하다고 밝혔고,
일부 지자체는 이미 기부 기능이 탑재된 곳도
있어 정책 의지의 온도차도 감지됩니다.
MBC 뉴스 이교선입니다.
◀ END ▶
- # 민생회복
- # 소비쿠폰
- # 지역사랑
- # 상품권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