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정부의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강행을
둘러싼 반발이 지역과 정치권은 물론
공무원 사회로 확산하고 있습니다.
해수부 공무원 노동조합은
부산 이전 졸속 추진에 반대하며
무기한 단식투쟁에 돌입했습니다.
문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한여름 땡볕이 내리쬐는 아스팔트 위에
천막이 쳐졌습니다.
잔뜩 상기된 표정으로 머리를 깎습니다.
해양수산부 공무원 노동조합이
정부의 일방적인 부산 이전 강행에 반대하며
무기한 단식 투쟁에 돌입했습니다.
윤병철/해수부공무원노조 위원장
"준비 없는 이전, 졸속 추진은 절대 안 된다는 것을 다시 한번 밝히며 무기한 단식 농성에 들어갈 것을 선언합니다. 투쟁!"
이들은 "공무원도 국민"이라며 삶의 기반을
뒤흔드는 졸속 이전이 아닌 협의와 공론화를
거듭 요구했습니다.
또 해수부의 정책 기능 완성을 위해
복수차관제, 책임장관제 도입과
산업통상자원부에 속한 조선산업 정책 분야를
해수부로 이관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한 달 기자회견에서
인사 관련한 질문에 답하면서 공무원은 정책
결정을 따를 수밖에 없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지난 3일)
"공무원 특히 그게 누구든 간에 직업 공무원은 선출된 권력의 의사에 따를 수밖에 없어요."
하지만 해수부 공무원들은 자신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지 않는 정부를 향해 최후통첩을
했습니다.
해수부 이전은 이제 단순히 부산 경제를
살리기 위한 해법으로, 부처 하나 옮기는
문제를 넘어서는 모양새입니다.
이재명 대통령 (지난 4일)
"해수부는 부산이 제일 이해관계가 크잖아요. 여기서는 100 정도의 혜택이 있다면 부산은 1000 정도의 혜택이 있단 말이에요."
공무원 사회의 비판 여론, 지역 간 이해관계,
정치권 입장까지 얽혀 셈법은 더욱 복잡해졌습니다.
여기에 국정과제로 추진해 온 국가균형발전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까지 더해집니다.
소통을 강조해 온 이재명 정부가
절차적 정당성과 여론 수렴 없는,
소통 부재로 중요한 시험대에 올랐습니다.
mbc뉴스 문은선입니다.
◀ END ▶
- # 해수부
- # 이전
- # 부산
- # 공무원
- # 단식
- # 삭발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