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뉴스투데이
대전세종충남입니다.
정부의 국비 지원 확대에 따라,
대전시 등 지역 자치단체들이
지역화폐 운영을 재개했습니다.
첫날은 홍보 부족 등으로 다소
썰렁한 분위기였지만, 앞으로
침체된 지역경제를 살리는 해법이
될지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이교선 기자입니다.
◀ 리포트 ▶
대전 대덕구의 한 전통시장.
지역화폐인 대전사랑카드 사용이 재개됐지만,
사용하는 시민은 좀처럼 눈에 띄지 않습니다.
대전사랑카드는 월 50만 원 한도 내에서
사용액의 7%를 캐시백으로 돌려주는 구조로
최대 월 3만5천 원 혜택이 가능하지만,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의 10%, 최대 200만원
한도보다 낮은 수준입니다.
하미영 / 시민
"혹시 쓰실 생각 없으신가요? / 7%는 괜찮기는 한데… (온누리상품권에) 2백만 원이 있어서."
지역 상인들 역시 생소하다는 반응 속에
효과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엇갈립니다.
박명애 / 중리시장 상인회장
"실제적으로는 잘 모르는 곳이 더 많은 것 같아요. 대덕구니까 이로움이라든가 온통대전, 그다음에 대전사랑카드거든요. 지역사랑으로 생각하면 조금 더 써주지 않을까?"
지역화폐의 효용성은 이미 여러 곳에서
검증됐습니다.
전북 군산은 가맹점 연 매출이 비가맹점보다
1.5배 높고, 경북은 산불 피해 지역에
최대 20% 할인 혜택을 적용하고 있으며,
광주는 8월부터 13% 캐시백 확대를
예고했습니다.
반면 대전은 지역화폐 정책에 미온적이어서
올해 국비 배정액도 52억 원으로
전국 최하위권.
그 여파로 중구는 자체 예산으로 '중구통'을
운영하며 이달부터 캐시백을 15%로 상향했지만,
광역시와 기초단체 간의 엇박자도 지적됩니다.
정세은 / 충남대 경제학과 교수
“가용한 재원이 많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예산을 집중 사용한다면 대전 지역이 지금 소상공인들이 많이 어려운 상황이어서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이런 가운데 국회에서는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지역사랑상품권 예산이 포함된 13조 2천억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을 여야 합의로 의결했습니다.
지방정부 부담을 삭제하고 중앙정부가
소비쿠폰 발행 예산 100%를 부담하기로 하면서
지방자치단체의 부담이 크게 줄 전망으로,
지역사랑상품권 예산 6천억 원도 원안대로
통과돼 지역화폐 확대에 더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입니다.
MBC뉴스 이교선입니다.
◀ END ▶
- # 대전사랑카드
- # 캐시백
- # 온누리상품권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