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태안화력발전소에서 일하던 하청 노동자
고 김충현 씨가 기계에 끼어 숨진 지난 2일,
원청 업체인 한전KPS는
"지시한 작업이 아니었다"고 자료를 냈습니다.
마치 고인이 임의로 작업을 하다
사고를 당한 것처럼 입장을 밝힌 건데요.
그런데 사고 당일, 작업 전 작성된 일지를
입수해 보니 버젓이 한전KPS 직원이
서명한 것으로 드러나 책임을 회피하려 했다는
비판이 거셉니다.
이혜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한전KPS가 설비 전면 정비 공사를 맡아
진행 중이었던 태안화력발전소 10호기 내부.
지난 2일 한전KPS의 협력업체 소속
故 김충현 씨는 이 발전 설비에 쓰일
정비용 특수 공구,
이른바 'CVP 벤트 밸브 핸들'을 만들다
끼임 사고로 숨졌습니다.
사고가 발생한 직후 한전KPS는
설명자료를 통해 "지시한 작업이 아니다"라며
마치 고인이 임의로 작업하다 사고를 당한 듯한
입장을 냈습니다.
그런데 원청인 한전KPS가 숨진 김 씨의 작업을
지시했다는 정황이 문서로 드러났습니다.
사고 당일 오전 작성된
'작업 전 안전회의 일지'에는,
사고 당시 진행한 구체적인 작업 내용과 함께
한전KPS 직원의 서명이 버젓이 적혀 있습니다.
실제, 김 씨의 동료들은 원하청 계약과
발전소 업무 매뉴얼과는 달리,
현장에서 구두 통보로 작업이 지시되는 관행이
반복됐다고 말합니다.
심지어 협력업체 소속인데도 한전KPS 임원이
참석하는 회의에 지각했다는 이유로
반성문을 썼다는 증언도 나왔습니다.
故 김충현 씨 동료
“사실상 (한전KPS가) 직접 지시를 했다. 이런 회의 때도 '왜 참석 안 해' 그런 게 일상화됐던 거죠. 그래서 반성문까지 쓰게 했고.”
일상 정비를 맡던 고인이 계약 외 작업까지
도맡았다는 의혹도 제기됐습니다.
이달 안에 공사를 마무리하기 위해
한전KPS가 김 씨에게 관련 부품 제작까지
지시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겁니다.
최진일/대책위원회 상황실장
"이것을 시중에서 구입하려고 했을 때 소요되는 시간 이런 것들을 좀 줄이기 위해서 자체 제작을 의뢰를 하지 않았을까라는 추정을 하고 있다."
원청인 한전KPS와 노조 측의
진실 공방이 이어지는 가운데,
고용노동부는 원인 규명을 위해
태안화력에 대한 고강도 감독에 돌입하는 한편,
전국 석탄화력발전소 15곳과 협력업체들을
대상으로 기획 감독에 착수했습니다.
MBC 뉴스 이혜현입니다.
- # 태안화력발전소
- # 한전KPS
- # 중대재해처벌법
- # 작업지시_정황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