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이번 대선에서, 후보들이 앞다퉈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정치인의 한마디에 세종시 집값은
다시 출렁이고 있는데요.
세종시는 정말 '완성형 도시'가
될 수 있을까요? 그 기대와 현실을
윤소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지난달 14일)
"(국가 기관은) 원래 여기저기 찢어놓으면 안 됩니다. 다 한 군데로 몰아놔야죠."
김문수 / 국민의힘 대선 후보 (지난달 13일)
"저도 세종시에 국회의사당 옮기도록 하겠습니다."
대선 후보들이 대통령실과 국회의 세종 이전을 공약하자, 세종시 아파트값이 소폭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지난 4월 세종시 아파트의 절반 이상이 직전 거래보다 높은 가격에 팔렸고, 이 중 일부는 10% 이상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거래량은 오히려 줄었습니다.
지난 4월 세종시 아파트 거래 건수는 1천1백여 건으로, 3월보다 20건 줄었는데, 감소 폭이
더 커질 거란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각 당의 행정수도 공약이 잇따르자
호가를 올리거나 매물을 거둬들이는 경우도
많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지난 2020년 '행정수도 완성' 기대감에
집값이 한해 동안 40%이상 급등했다 무산되자 하락세를 겪은 만큼, 이번에도 비슷한 상황이 반복될 거란 우려도 나옵니다.
김미란 / 세종 지역 공인중개사
"그냥 평소 수준 되는 것 같아요. 정치인들의 말 한마디, 세종은 특히나 자족 도시가 안 되다 보니까 아무래도 정치의 영향이 가장 큰 것 같아요."
아파트 시장이 어느 정도 활기를 찾은 것과 달리 상가매매는 올해 넉 달간 거래를 모두 합쳐도 100건을 조금 웃도는 수준입니다.
"행정수도 이전 기대감과는 별개로,
세종시 곳곳엔 여전히 빈 상가들이 많습니다. 올해 조사된 세종시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25.2%로 전국 평균보다 두 배 가까이
높습니다."
행정수도 이전만큼 중요한 건
'사람이 없다'는 현실입니다.
세종 지역 상인
"주말에는 공무원들이 없어요. (주말에) 문을 닫는 상가가 많아요."
지난 4월 기준, 세종시 인구는 39만 명으로,
수년째 정체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세종시는 국회와 대통령실이 이전해도 2030년까지 인구 80만 명 달성은 어렵다고 보고, 목표 시점을 2040년으로 늦췄습니다.
민간 일자리와 생활 인프라가 부족한
미완의 도시 구조가 세종시 인구 정체의
주된 원인으로 꼽힙니다.
세종시에 본사를 둔 대기업은 한화에너지 한 곳뿐인데, 그조차 주요 사업장이 호남권에 몰려 있어 일자리가 밖으로 빠져나가는 구조입니다.
이렇다 보니 세수 기반도 약해졌습니다.
세종시 전체 세입예산에서 지방세 비중은
2019년 59.9%에서 올해는 51.5%로 낮아졌고,
중앙정부에 의존하는 지방교부세 비중은
같은 기간 2배 이상 늘었습니다.
단순히 행정기관 이전에 기대기보단,
세종의 미래를 이끌 경제적 자립 기반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제기되고 있습니다.
진종헌 / 공주대 지리학과 교수
"대전은 R&D 자원을 활용해서 과학산업도시
전략을 세우고 있는데, 거기에 이제 세종시도 대학 자원들을 활용해서 광역시도별로 특화된 산업과 연결될 수 있도록..."
정치 테마주란 오명이 따라붙는 세종시 집값,
그 뒤엔 자족 기능을 갖추지 못한
도시의 민낯이 숨어 있습니다.
MBC뉴스 윤소영입니다.
◀ END ▶
- # 행정수도
- # 이전
- # 세종
- # 인구
- # 일자리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