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최근 제주의 한 중학교에서 숨진 교사도
생전에 과도한 민원에 시달렸던 것으로
알려졌죠,
2년 전 서울 서이초, 대전 용산초 교사
사망사건 이후 교권보호 대책이 쏟아졌지만
정작 학교 현장에서는 제대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문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세종에도 제주 모 중학교 교사를 위한
추모공간이 마련됐습니다.
2년 전 서울 서이초, 대전 용산초 교사
사망사건 이후 또다시 발생한 비극에
교육계는 침통함을 감추지 못합니다.
최교진/세종시교육감
"제주도 특별한 학교의 문제만이 아닌 어쩌면 우리나라 오늘날 모든 교육현장의 문제로 받아들입니다."
세종만 해도 지난해 발생한
교육활동 침해는 74건으로 매년 늘고 있습니다.
교원 심리 상담은 1년에 2천 건에 육박하고
변호사를 지원하는 법률 상담 역시
지난해 4백 건으로, 1년 새 2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하지만 정작 악성 민원 등에 대비한
긴급대응 즉 실제 교육청이 개입한 사례는
지난 2년간 2건에 불과합니다.
팽주만/세종시교육청 교권보호팀 장학관
"학생이 조금 폭력적으로 대응을 하다 보니선생님이 신변 보호의 위험까지 느끼고 이런 부분에 대해 저희에게 지원 요청을 해서 법률 및 심리 상담 지원을.."
학교 현장에선 잇단 교사 사망사건 이후
교권보호 대책이 쏟아졌지만 현장에서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최혜은/전교조세종지부 사무처장
"교권 5법으로 응답을 줬지만 현실적으로 학교 현장에서는 제대로 자리를 잡지 않고 있고 한 마디로 학교민원시스템의 부재, 이것이 가장 큰 원인이 아닐까.."
숨진 제주 교사 역시 개인 번호가 노출돼
악성 전화민원을 차단할 수 있는
안심번호서비스가 소용이 없었습니다.
대전지역 교사의 87%가 민원 응대 시스템이
제대로 운영되지 않는다고 답한 설문 조사도
이런 현실을 대변합니다.
교육부는 이번에도 뒤늦게 학교의 민원
대응 체계 점검을 약속했습니다.
이주호/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지난 26일, 5·31 교육개혁 30주년 기념 간담회)
"학교의 민원 대응 체계가 적절하게 운영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교사의 교육활동 보호를 위해 필요한 대책을 신속하게 마련하겠습니다."
또 교사와 학부모 간 소통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올 하반기 개통할 예정입니다.
mbc뉴스 문은선입니다.
◀ END ▶
- # 서이초
- # 용산초
- # 제주
- # 교권보호
- # 교사
- # 자살
- # 민원응대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