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조기 대선 국면에 접어들면서,
대전을 찾은 대선 후보들은
과학기술 현장을 찾아, 관련
공약들을 내놓고 있습니다.
저마다 윤석열 정권을 거치며
무너진 과학 생태계를 바로잡겠다고
외치고 있는데, 과연 과학기술계
현장에서는 이를 어떻게 평가하고
있을까요? 박선진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조기 대선 국면에 접어든 이후
과학수도 대전을 찾은 대선 후보들은
연구 현장으로 향했습니다.
하지만 정작 현장에서는 후보들이 내놓은
과학기술 정책에 아쉬움을 토로합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국민의힘 김문수,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모두 인공지능 AI에
공약이 집중되고 있다는 겁니다.
AI 분야의 중요성에는 공감하지만,
마치 유행을 타 듯 특정 분야에 지원이
몰리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이상근 / 공공과학기술연구노조 정책국장
"지금 AI 분야가 중요하다고 해서 지금 살짝 이제 지나간 감염병 분야의 연구가 다시 중요해지지 않은 것은 또 아니거든요.
좀 더 집중은 하되 다른 분야들도 소외되거나 도태되지 않도록…"
이들은 무엇보다 윤석열 정권을 거치며
무너진 생태계를 회복하기 위해
정치적 독립성 보장을 우선 과제로 꼽습니다.
장기적 관점과 목표가 필수인 과학기술 분야가
정권에 따라 정책이 오락가락하는 것을
막기 위해선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하는
전문적인 상위 행정기구가 신설돼야 한다는 겁니다.
또, 윤 정권의 R&D 예산 일방적 삭감으로 인한 과제 수행 중단과 인재 양성 시스템의 붕괴 등을 겪은 만큼 안정적 예산 지원을 법제화해야 한다고도 말합니다.
김진수 / 출연연과학기술인협의회총연합회 회장
"정부가 모든 것을 결정하고 브레인 역할을 하고 과학기술 정책에 있어서 현장에 있는 사람들은 오히려 이렇게 손과 발만 제공하는 느낌이 있어서…"
공공연구기관 연구자 등의 이탈 방지와
우수 인재 확보를 위해서는 민간이나 학계에
비해 낮은 처우를 개선하는 게 시급하다는
목소리도 큽니다.
현장에서는 또, 경쟁적으로 연구과제를
수주해야 하는 연구과제 중심제도, PBS가
오히려 과학기술 발전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며
궁극적 폐지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MBC뉴스 박선진입니다.
◀ END ▶
- # 대선
- # 대전
- # 과학기술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