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요즘 충남 지역 시군에서
각종 비리 의혹이 잇따라
불거지고 있는데요,
오늘은 측근 특혜 논란이 일고 있는
당진시를 들여다봤습니다.
당진시 특별보좌관이 국비로 만든
청년 창업 공간 운영권을,
수의 계약 방식으로 넘겨받는 등
각종 특혜 의혹이 끊이지 않자,
급기야 시민들이, '비상행동'까지
출범시켜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윤소영 기자입니다.
◀ 리포트 ▶
당진시 외곽에 자리한 한 카페.
폐쇄된 농협 창고를 개조해 만든 이 카페는
한때 청년 창업 공간으로 주목받으며
지역 명소로 떠올랐습니다.
"이곳은 당진시가 지난 2019년,
국비와 도비 5억 원을 들여 리모델링한 건물로
지난해까지 청년 창업자들의 활동 공간으로
활용돼 왔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말, 당진시와 지역 농협 간
무상 임대 기간이 종료되면서, 농협 측이
수의계약을 통해 한 개인 사업자에게
카페 운영을 맡겼습니다.
그런데 이 사업자는, 지난해 4월
당진시 문화예술 분야 정책특별보좌관으로
위촉된 인물이었습니다.
과거 지방 축제 보조금을 부정하게
사용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던 인물로,
당시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습니다.
재판부는 무죄를 선고하면서도
다른 피고인의 범행으로 이익을 본 점에
주목하며, 사건에 관여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특혜 의혹은 여기서 그치지 않습니다.
올해 초에는 당진시장이 이사장으로 있는
당진문화재단의 예술총감독직까지 겸직하며,
"내정된 인사 아니었냐"는 의혹까지
더해졌습니다.
잇따른 인사 논란과 특혜 의혹에
당진 시민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확실하게 밝힐 것을 촉구한다, 촉구한다!"
당진 지역 6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당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이
부조리한 시정을 더는 외면할 수 없다며
출범 보름 만에 첫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비상행동은 "특별보좌관 채용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라"고 촉구하며, 특히 "부적절한 수의계약을 취소하지 않으면 수사기관에 고발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박근식 / 당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 공동대표
"재단에 어떻게 선임이 됐는지 이런 것들이 정확하게 밝혀지면 될 일이겠지만, 이런 것들이 먼저 많은 다양한 시민들에게 공개도 안 되고.."
또 단체는 당진시에서 고위 공무원의
직장 내 성희롱 등 비위가 잇따르고 있다며,
시정 책임을 촉구하는 활동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당진시는 이번 논란과 관련해, 해당 보좌관은 축제 기획 경력을 인정받아 위촉된 인물이며, 카페 운영은 소유주인 지역 농협이 전적으로 진행한 사안이라고 해명했습니다.
MBC뉴스 윤소영입니다.
◀ END ▶
- # 당진시
- # 특별보좌관
- # 특혜
- # 의혹
- # 비상행동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