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팩트체크 뉴스참에서
대전시가 집중호우 때 하천 범람을 막겠다며
추진한 3대 하천 준설 사업을 검증한 결과,
그 효과가 불명확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70억 원을 들여 쌓인 흙을 퍼내고 있지만
또다시 쌓이는 만큼, 이제는 그 예산을
실질적인 효과를 가져올 확실하고
선제적인 대책에 투입해야 하는 건 아닐까요?
윤소영 기자입니다.
◀ 리포트 ▶
5년 전 여름 이틀간 300mm의 물폭탄이
대전을 덮쳤습니다.
대전 갑천 인근에 있는 한 아파트가
통째로 물에 잠겨 143명이 구조됐지만
미처 빠져나오지 못한 주민 1명이 숨졌습니다.
신대호 / 당시 아파트 주민
"(물이) 이만큼 올라왔어. 방이고 뭐고 전체 다 올라왔어. 여기 그릇이 다 밖으로 나왔다니까 (물에) 떠서."
한꺼번에 쏟아진 빗물을 하천으로 빼내는
우수관이 감당하지 못한 게 원인이었습니다.
이태진 / 당시 대전 서구 건설과장
"우수관을 확장해서 앞으로 이런 피해가 없도록 하고, 산 쪽 같은 경우에도 토사가 우수관까지, 동네까지 떠내려오지 않도록 사방댐을 시설하고자 합니다."
이후, 우수관을 늘리고,
도심에 빗물을 머물게 하는 '물그릇'을 만들어
하천으로의 유입량을 줄이는 대책이 추진됐습니다.
겉 보기엔 평범한 도로 화단이지만
가까이 가보면 빗물을 받아낼 수 있도록
땅이 움푹 파여 있습니다.
집중호우 때 도심 땅 속에 빗물을 머물게 하는
'물그릇'으로, 3대 하천으로 빗물을 서서히
흘려보내 범람 등 큰 피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정부 공모 사업으로 지난 2020년부터 1년 동안,
대전시 일대에 700여 곳의 저류 시설이
만들어졌습니다.
박현희 / 대전 서구 맑은물팀장
"자갈이라든지, 토양층하고 같이 밑에 깔려 있기 때문에 물이 딱 떨어져서 체류를 하게 되고, 자연스럽게 나가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지만 올해 관련 사업 예산은
1억 2천만 원에 불과합니다.
대전시가 170억 원을 들여 3대 하천 준설에만
공들이다보니, 신규 설치는커녕
기존 시설 유지도 버겁습니다.
국가하천인 대전 3대 하천으로 합류하는
지역 소하천들에 대한 관리도 중요합니다.
지난해 7월, 시간당 100mm에 달하는 폭우에
소하천 제방이 무너지면서, 거센 물살로 뒤덮인
대전 갑천 상류의 한 마을.
박미원 / 수해 주민 (지난해 7월 10일)
"대문을 열어 보니까 그냥 진짜 그런 파도 같은 물이 나는 처음 봤어. 저는 그냥 빠져나왔어요. 여기로."
다시 찾은 마을에서는 터진 제방을
복구하는 공사가 진행 중입니다.
"무너진 제방 공사는 한창이지만,
정작 마을과 맞닿은 제방에 대한 보수는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제대로 된 안전 진단도 없이, 제방 둑 높이기
공사도 없이 방치된 구간이 1km를 넘습니다.
채홍종 / 대전 정방마을 수해대책위원장
"여기가 최고 낮아. 낮은데, 여기는 (공사) 안 하고 저기만 하면 어떤 현상이 일어날지 누가 봐도 뻔하잖아."
마을 주민들은 피해 원인을 명확히 규명하고,
보다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하소연합니다.
김환수 / 대전시 용촌동
"하천이 (제방을) 범람했다, 그건 설계한 기준에 오버 되어 있기 때문에 그건 자연재해라고 할 수 있겠죠. 근데 지금은 이번에는 제방이 붕괴됐잖아요. 우리는 그걸 자연재해로 보지 않아요, 인재지."
올해만 170억 원, 앞으로는 더 많은 혈세를
3대 하천 준설에 쏟아붓겠다는 대전시,
수해 피해 지역 주민들은
올해 여름이 유난히 불안합니다.
MBC뉴스 윤소영입니다.
◀ END ▶
- # 호우
- # 피해
- # 대책
- # 빗물저류시설
- # 장마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