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제21대 대선이 임박하면서,
장애인 유권자들의 참정권
보장과 확대를 위한 제도 손질이
시급해지고 있습니다.
대선에 앞서 장애인들을 위한
투표 체험 기회가 마련됐는데,
현행 기표 방식 등을 좀 더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김광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다음 달 3일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한 장애인복지관에 모의 투표소가
마련됐습니다.
장애인 60여 명이 투표 절차 등에 대한
설명을 듣고 투표용지를 받아
투표함에 넣는 것까지
직접 체험하며 선거에 대한 이해를 높입니다.
정확한 위치에 도장을 찍을 수 있도록 돕거나 글자를 크게 볼 수 있도록 하는
투표보조용구에 대한 교육과 체험도
이뤄졌습니다.
김가영 / 지적장애인
"전에는 투표가 어렵다고 생각했는데 이번에
투표 체험을 하면서 보조용구도 써보니까
자신감이 생겼어요."
지난해 처음 시작한 장애인 선거 연수인데
선관위는 장애인의 투표 참여를 돕기 위한
다양한 방안 마련을 고심하고 있습니다.
서정희 / 충남선거관리위원회 홍보팀장
"모든 투표소 및 사전투표소를 1층 또는
승강기가 설치된 곳으로 확보하고 있고,
청각 장애인 선거인에게는 투표소에서
영상 통화, 수어 통역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장애인 혼자서
투표에 참여하는 건 쉽지 않은 일입니다.
최근 법원에서는 장애인의 투표 참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취지의
판결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시각·신체장애가 있는 유권자에게 제공되는
투표보조를 발달장애인에게도 제공해야
한다거나,
정당 로고나 후보자 사진 등을 이용한
보조용구를 제공해야 한다는 등의 판단입니다.
정해성 / 충남남부장애인종합복지관 지역권익옹호팀장
"비장애인들이 만들어 놓은 선거 방식,
기표 방식에 좀 불편함을 느껴요. 기표용지에 후보자들 얼굴이라도 인쇄를 해주면 정말로
참정권, 자기 투표 권리를 잘 행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현실적 여건과 대리투표에 대한 우려 등
넘어야 할 산이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장애인의 참정권을 보장하기 위한
활발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MBC뉴스 김광연입니다.
(영상취재: 양철규)
- # 선거
- # 대통령
- # 장애인
- # 참정권
- # 선관위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