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세종보 재가동을 막겠다며
환경단체가 금강 둔치에서
천막 농성을 시작한 지,
어느덧 1년이 흘렀습니다.
이들은, 윤석열 전 대통령은
파면됐지만, 역행한 환경부의
정책은 이어지고 있다며,
물 정책을 정상화하라고
촉구했습니다. 김광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지난해 4월 세종보 인근 금강 둔치에
천막이 세워졌습니다.
지난 2018년 개방된 후 철거가 결정된
세종보를 재가동하겠다는 정부 방침에
반대하는 이들이 농성에 돌입한 겁니다.
장마를 앞두고 가동 준비가 막바지에 접어들자
환경단체 등은 수중 농성도 불사하겠다며
강력 반발했습니다.
임도훈 / 보철거 시민행동 간사 (지난해 5월 30일)
"우리나라 후퇴한 물정책을 바로잡기 위해서는
세종보 재가동을 반드시 막아야만 한다."
"보 재가동을 위한 공사는 지난해 중순쯤
마무리됐지만 열 달가량 지난 지금까지도
세종보는 아직 닫히지 않고 있습니다."
이들의 노력으로 보의 재가동을 막아내
물의 흐름이 막히지 않고 있는 겁니다.
농성을 시작한 지 어느덧 1년,
보 철거를 주장하는 이들은 거꾸로 가던
물 정책을 바로잡아 정상화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문성호 / 보철거 시민행동 공동대표
"세종보 재가동을 막기 위해 금강변에 천막을
친 지 1년. 우리는 지금까지 세종보 재가동을
막아내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물정책을 과거로
역행시키려는 정권의 폭력 앞에 서 있다."
4대강 최후의 보루인 세종보뿐 아니라
창궐하는 녹조로 시민 안전을 위협받는 낙동강,
댐 건설과 대규모 하천 준설 등 전국 곳곳의
자연성 훼손을 멈춰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강호열 / 낙동강네트워크 공동대표
"윤석열은 파면됐지만 지금 환경부의 정책들은 하나도 변함없이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환경 파괴 정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환경부가 윤석열 정부 산하에서 이뤄진
모든 정책은 멈추어야 한다."
지난해 민주당과 진보당 등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야당 의원들이
농성장을 찾기도 했는데
대선 이후 보 운영 계획이 바뀔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환경단체 관계자들은 비정상의 정상화가
이뤄질 때까지 방심하지 않겠다며
대선 기간 각 당에 질의서를 보내는 등
목소리를 이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MBC뉴스 김광연입니다.
(영상취재: 장우창)
- # 세종보
- # 천막
- # 농성
- # 물정책
- # 정상화
Copyright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